잎은 대생하며 난상 원형 또는
아원형이지만 흔히 오각형으로 되고 첨두 심장저이며 길이 15~23cm, 폭은 12~29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갈색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1c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난형 첨두의 삭과로 털이 없고 길이는 3cm 정도로서 10~11월에 익는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난형이고 첨두이며 서기도 하고 퍼지기도 하며 양면에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6cm로서
자주색이지만 참오동나무와는 달리 세로로 된 자주색 줄이 없으며 후부(喉部)는 황색이고 내외부에 성모와 선모가 있으며 이강웅예(二强雄蘂)는 털이
없고 자방은 난형으로서 털이 있다.
줄기
줄기가 통직하고 수피는 담갈색이고 암갈색의 거친줄이 종으로 나 있다.
뿌리
주근이 있고, 측근이 길게 사방으로 뻗는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형
크기
높이 15-20m, 직경 80㎝까지 자란다.
+상세설명
개요
중국 중북부 원산이며 민가 근처에 식재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따뜻한 지역의 계곡이나 낮은 지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5~20m, 지름 80c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난상 원형 또는 아원형이나 흔히 5각형으로 되고 길이 15~23cm, 폭 12~29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형이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 다갈색의 별모양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9~21cm로 잔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장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양면에 잔털이 있다. 꽃부리는 길이 약 6cm이고 후부는 황색이며 내외부에 별모양털과 샘털이 있다. 수술은 4개중 2개가 길다.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평안남도 및 경기도 이남에 자라며, 원산지는 중국 중북부이다. 참오동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다갈색 털이 있고 꽃부리에 자줏빛이 도는 점선이 없으므로 구별된다. 목재는 가구재, 건축재, 악기재, 포장재로 이용하며, 잎은 약용한다. 오동이라고도 한다.
형태
낙엽성으로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지만 오각형에 가깝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장저이다. 뒷면에 갈색 성모가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린다. 화관은 자주색이지만 후부는 노란색이고 내외부에 성모와 선모가 있다.
낙엽활엽 교목으로 높이 15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고 난상 원형 또는 아원형이나 흔히 5각형으로 되고 길이 15~23cm, 너비 12~29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형이며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 다갈색의 성모가 있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9~21cm로 잔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장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양면에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약 6cm이고 후부는 황색이며 내외부에 성모와 선모가 있다. 수술은 2강웅예이고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