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며 원형, 넓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5-10cm, 너비 4-6cm로서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은백색 인모가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은 은백색 인모가 그대로 남아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25mm로서 갈색 또는 은백색 인모가 있다.
열매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1.5-1.7cm, 지름 5-6cm로서 백색 인모가 있으며 다음해 3-5월에 성숙하고 먹을 수 있다.
꽃
꽃은 9-11월에 피고 몇 개씩 액생하며 소화경은 길이 5-10mm로서 백색 인모가 밀생하고 때로는 적갈색 인모가 혼생하며 꽃이 핀 다음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길이 4mm이며 열편은 이보다 약간 짧고 겉은 은백색 바탕에 갈색점이 있으며 암술대에 털이 없다.
줄기
소지에 황백색 및 연한 갈색 인모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황해도 이남의 서남 해안 지대에 분포한다.
남쪽 섬에서 주로 자라지만 울릉도와 대청도까지 올라온다.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상록 만경목: 상록 관목.
크기
길이가 2-3m 정도 된다.
+상세설명
개요
바닷가 산지에 자라는 상록 활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거나 나무를 타고 올라가며, 길이 3~8m이다. 어린가지는 은백색과 갈색의 별 모양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 잎몸은 넓은 난형, 길이 5~10cm, 폭 4~6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은 은백색의 별 모양 털이 오래 남아 있고, 윤이 조금 난다. 잎자루는 1~2.5cm이다. 꽃은 9~10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몇 개씩 달리며, 은백색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 끝이 4갈래로 갈라지는데 통부와 갈래의 길이가 각각 4mm쯤으로 비슷하고,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핵과, 타원형, 길이 1.5~1.7cm, 이듬해 3~5월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 서해안, 울릉도, 제주도 등에 나며, 타이완, 일본 등에 분포한다. 국내 보리수나무속 식물 중에서 잎자루는 길이 1~2.5cm로 가장 길고, 꽃받침 통부의 길이가 4mm로 짧으므로 구분된다. 본 종과 비교하여 보리장나무는 잎이 긴 타원형이며, 잎 뒷면과 어린가지는 붉은 갈색 털이 나고, 꽃받침의 통 부분은 가늘고 갈래 부분보다 길므로 다르다. 봄보리수나무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봄보리수나무
국내분포
중부 이남(서해안, 제주도), 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타이완, 일본
서식지/생육지
바닷가 산지
형태
관목으로, 상록성이며, 덩굴성이고, 키 3m에 달한다. 가시는 없으며, 소지에는 갈색 인편모가 밀생한다. 잎은 넓은 난형, 광타원형 또는 원형에 가깝고, 4-9×4-6cm, 예두 내지 둔두이며, 예저 내지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반곡하며, 혁질이고, 상면에는 광택이 있으며, 은백색 인편모가 성기게 있고, 하면에는 은백색 인편모가 밀생한다. 엽병은 길이 1-2.5cm, 표면에 은백색과 갈색 인편모가 밀생한다. 화서는 액생하며, 1-8개의 꽃이 속생하고, 소화경은 개화기에 길이 3-4mm이나, 결실기에는 0.8-1.2cm까지 자라며, 표면에는 은백색과 적갈색 인편모가 밀생한다. 꽃은 양성이다. 악은 백색이고, 종형이며, 표면에 은백색 인편모가 밀생하고, 악통은 길이 4-5mm이며, 기부는 급하게 수축되고, 악편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3-4mm이고, 예두이다. 화주에는 은백색 인편모가 있다. 열매는 적색이며, 장타원형이고, 1.4-1.8×0.5-0.6cm이며, 표면에 은백색 인편모가 있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거나 나무를 타고 올라가며, 길이 3~8m이다. 어린 가지는 은백색과 갈색의 별모양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 잎몸은 넓은 난형, 길이 5~10cm, 폭 4~6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은 은백색의 별모양털이 오래 남아 있고, 윤이 조금 난다. 잎자루는 1~2.5cm이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몇 개씩 달리며, 은백색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 끝이 4갈래로 갈라지는데 통부와 갈래의 길이가 각각 4mm쯤으로 비슷하고,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핵과, 타원형, 길이 1.5~1.7cm, 붉게 익는다.
생태
상록 덩굴나무이다. 꽃은 9~10월에 피며, 열매는 4~5월에 익는다.
해설
본 종은 엽병이 길고(1-2.5cm), 악통이 짧은(4-5mm) 특징에 의해 속 내 다른 상록성 분류군들과 쉽게 구분된다(Lee, 2007). 그러나, 근연 분류군들과의 잡종 형성 그리고 이로 인한 분류학적 한계 규명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보리수나무속(Elaeagnus) 식물 중에서 잎자루는 길이 1~2.5cm로 가장 길고, 꽃받침 통부의 길이가 4mm로 짧으므로 구분된다. 본 종과 비교하여 보리장나무(E. glabra Thunb.)는 잎이 긴 타원형이며, 잎 뒷면과 어린 가지는 붉은 갈색 털이 나고, 꽃받침의 통 부분은 가늘고 갈래 부분보다 길므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