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합과]
양파
Allium cepa L. 
피부.비뇨기 질환 |
|
|
[대극과]
예덕나무
[야오동(野梧桐)]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소화기 질환 |
용 법 : 줄기껍질과 잎을 약재로 사용한다.
계절에 상관없이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물과 함께 약한불에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를 내서 마신다..
줄기껍질은 특히 항암재로 사용하고
효 능 : 항암제, 장염제, 식욕증진제, 살균제, 해독제, 진통제, 위궤양, 담석증, 건위제 성 분 : 베르갑텐(bergapten), 루틴(rutin), 벨게닌(bergenin), 말로프레놀(malloprenol)
|
|
[현삼과]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피부.비뇨기 질환 |
|
|
[오미자과]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기타 질환 |
|
|
[박과]
오이
Cucumis sativus L. 
내분비 질환 |
|
|
[옻나무과]
옻나무
Rhus verniciflua Stokes 
|
|
|
[느릅나무과]
왕느릅나무
Ulmus macrocarpa Hance 
|
|
|
[매자나무과]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
|
|
[용담과]
용담
Gentiana scabra Bunge for. scabra 
소화기 질환 |
용 법 : 가을에 뿌리 채취하여 말려서 약재로 사용한다.
말린 약재를 물에 넣고 약한 불에 달이거나, 건조한 뿌리를 가루를 내어 식후 복용한다.
효 능 : 건위,해열, 소염, 소화불량, 담낭염, 황달, 두통, 뇌염,방광염, 요도염, 충열, 항균 성 분 : 겐치오피크린(gentiopicrin), 겐치아닌(gentianine), 겐티오피크로사이드(gentiopicroside), 겐티아노제 (gentianose)
|
|
[국화과]
우엉
Beggar's Buttons, Greater Burdock Arctium lappa L. 
|
|
|
[운향과]
유자나무
Citrus junos Siebold ex Tanaka 
호흡기 질환 |
|
|
[벼과]
율무
Coix lacrymajobi var. mayuen (Rom.Caill.) Stapf 
피부.비뇨기 질환 |
|
|
[은행나무과]
은행나무
Maidenhair tree Ginkgo biloba L. 
호흡기 질환 |
|
|
[두릅나무과]
음나무 , 엄나무
Kalopanax septemlobus (Thunb. ex Murray) Koidz. 
근골계 질환 |
|
|
[쥐손이풀과]
이질풀
[노관초, 현초(玄草)]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소화기 질환 |
용 법 :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전에 전체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잘게 잘라서 사용하다. 복통, 설사, 장트러블 시 물과 함께 서서히 달여 복용한다.
효 능 : 이질, 설사, 장염, 종기, 무좀, 항균, 항바이러스, 해독, 타박상, 거풍 성 분 : 제라닌(geraniin), 코리라진(corilagin), 브레비프딘(brevifdin),갈릭산(gallic acid), 몰식자산(沒食子酌), 호박산
|
|
[두릅나무과]
인삼
Panax ginseng C.A.Mey. 
기타 질환 |
|
|
[국화과]
잇꽃 , 홍화
Carthamus tinctorius L. 
|
|
|
[용담과]
자주쓴풀
[당약(當藥)] Swertia pseudochinensis H.Hara 
소화기 질환 |
용 법 : 식물 전체를 꽃이 피었을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잘게 잘라서 이용시 중 불에 달여서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지사약(止漬藥)이나 회충,요충 등의 구충약으로 사용하거나 복통이나 매독의 치료에도 사용한다.
효 능 : 소화불량, 식욕부진 성 분 : 스웨르티아마린(swertiamarin), 스웰티 신(swertisin), 겐티 신(gentisin)
|
|
[콩과]
작두콩
Canavalia ensiformis DC. 
|
|
|
[작약과]
작약
Chinese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기타 질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