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향나무 사진 - Juniperus chinensis L. Photos

향나무 사진 - Juniperus chinensis L. Photos 향나무 사진 - Juniperus chinensis L. Photos 향나무 사진 - Juniperus chinensis L. Photos
향나무줄기 Juniperus chinensis L. trunk









향나무

학 명
Juniperus chinensis L.
영문명
측백나무과
원산지
한국
꽃말
영원한 향기
다년초여부
다년생 - Perennial plant
기타
월동가능 - winter 상록수 - Evergreen plants
번식법
삽목
잎종류
꽃색
최대성장
잘은 몰라요
최저온도
휴면온도
적정온도
23도℃
발아온도
  • 접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전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삽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파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개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결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정보제공해주신분
상세설명
+ 상세설명
잎은 나무가 어릴 때에는 침엽이지만 10년만 되면 인엽이 불어나고, 큰 나무가 되면 모두 인엽으로 되지만 오래 된 나무라 할지라도 돋아나는 힘찬 움가지 위에는 침엽이 흔히 나타난다. 따라서 향나무는 잎의 모양이 이형성(二型性)이다. 침엽은 흔히 3윤생 또는 대생하고 아랫가지에 많다. 엽서는 4-6줄로 배열되며 짙은 녹색이고 표면에 불규칙한 3줄의 백선이 있으며 오목하고 중륵이 도드라지며 뒷면도 녹색으로서 도드라진다. 인엽은 능형이고 끝이 둥글며 끝이 가지에 거의 붙으며 가장자리가 백색이다.
열매
구과는 구형 또는 편구형이며 지름 7.5-12mm로서 익으면 자흑색 장과와 비슷하지만 유합된 실편은 소돌기를 남긴다. 과린은 서로 붙어 있고 기부의 포는 6장으로 9장인 노간주나무와 서로 구별이 된다. 구과는 이듬해 10월에 성숙하고 한 구과에 평균 3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종자는 1-6개로서 희미한 2개의 능선이 있고 난형 둔두로서 길이 6mm, 지름 3.7mm이며 다갈색이고 제는 연하다.
자웅이주로서 수꽃은 지난해 동안 자란 가지의 끝쪽에 모여 나는데 길이 3mm 쯤 되는 타원형이며 엷은 자갈색이고 14개의 인편은 안쪽에 4-6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도 지난해 가지의 끝에 모여나며 모양은 둥글고 길이 1.5mm쯤 로서 바깥쪽에 4장의 황록색의 인편이 있으며 안쪽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쌍의 연한 보라색 실편이 있다. 배주는 보통 4(3-6)개이다. 4월에 개화한다.
줄기
높이 23m, 지름 1m 에 달하고 가지가 상하로 향하며 오래되면 수피가 세로 방향으로 얇게 갈라진다. 1-2년생 가지는 녹색, 3년생 가지는 암갈색이며 7-8년생부터 인엽이 생기지만 맹아에서는 침엽이 나온다. 가지에는 고사한 인엽이 붙어 있다. 원줄기가 상처를 받으면 뿌리목 부근에서 움싹이 잘 돋아난다.
뿌리
뿌리는 깊게 들어가는 편이나 수평적으로도 넓게 확장된다.
원산지
한국
형태
상록침엽교목 또는 소교목
크기
높이가 20m, 지름 3.5m 가량된다.
+ 상세설명
개요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암석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늘푸른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0m, 지름 70c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껍질은 적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어린가지에는 바늘잎이, 성숙한 개체에는 비늘잎이 달린다. 바늘잎은 짙은 녹색, 돌려나기 또는 마주나며 4~6렬로 배열된다. 비늘잎은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흰색이다. 암수딴그루, 간혹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4월에 성숙한다. 수구화수는 타원 모양으로 지난해 가지 끝에 연한 황색으로 달리며, 암구화수는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둥글고 긴 모양으로 달리며, 비늘조각은 6개이다. 열매는 구과이며, 공 모양으로 지름 7~10mm, 이듬해 10월에 검붉은 색으로 익으며 겉에 하얀 분이 생긴다. 씨는 한 구과에 3개 정도 들어 있으며, 달걀 모양, 갈색이다. 수리나라 강원도 삼척, 영월, 경상북도 울릉도, 의성 등에 자생하며,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부, 미얀마 등에 분포한다. 정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조각, 기구재, 향료로 이용하고, 줄기와 잎은 약용한다.
국내분포
강원도, 경상북도
해외분포
중국, 일본
서식지/생육지
산지
형태
줄기는 높이 20m, 지름 2~5m에 달하는 상록성 큰키나무다. 줄기껍질은 적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어린 가지에는 바늘잎이, 성숙한 개체에는 비늘잎이 달린다. 바늘잎은 짙은 녹색, 돌려나기 또는 마주나며 4~6열로 배열된다. 비늘잎은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흰색이다. 암수한그루로 수솔방울은 타원 모양으로 지난해 가지 끝에 연한 자색으로 달리며, 암솔방울은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둥글고 긴 모양으로 달린다. 열매는 구과이며, 공 모양으로 지름 7~10mm, 검은색으로 익는다. 씨는 한 구과에 3개 정도 들어 있으며, 달걀 모양, 갈색이다.
생태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건조한 지역에 주로 자라나 습한 토양에서도 자란다. 그늘이 많이 진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해설
본 분류군은 비늘 모양의 인엽과 바늘 모양의 침엽, 두 형태를 가지고 있고, 수형이 키가 큰 교목으로 그 높이가 20m 이상 자란다.잎에서 추출한 수지는 소나무의 수지와 섞어서 종기를 삭히는 데 쓰고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Ali et al. 1999).

자료출처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 향나무 삽목정보
작년가지 10cm
+ 향나무 코멘트
+ 향나무 관련식물
+ 향나무 과 혼동하기 쉬운식물
분재
관리자 | 11.30
향나무 분재
ⓒⓒⓒ | 11.30
외도 가이즈카향나무
관리자 | 11.30
물방울 맺힌 향나무
ⓒⓒⓒ | 09.12
향나무
ⓒⓒⓒ | 09.12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햇빛  물  토양(배양토) 토양(PH) 통풍 재배난이도 발아난이도 삽목난이도
양지
반양지
반음지
음지
1일에 한번
3일에 한번
5일에 한번
7일에 한번
2주에 한번
배수성
통기성
유기질
염분
습기
공중분무
상관없음
산성
약산성
중성
약알카리성
알카리성
통풍
원활
보통
상관없음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등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