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메리카 원산이며 화단,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10~20cm, 붉은빛이 돈다. 잎자루는 없다. 잎은 어긋나며, 원주형, 길이 1~2cm, 끝이 뭉툭하고, 잎겨드랑이에 흰 털이 나며 다육질이다. 꽃은 7~10월에 가지 끝에서 1~3개씩 피며 붉은색, 흰색 또는 노란색, 지름 2.5~4.0cm, 밤에는 오므라든다. 꽃자루는 없다. 꽃받침잎은 2장, 막질, 넓은 난형, 길이 5~7mm이다. 꽃잎은 5장 또는 그 이상이며, 도란형, 끝이 파진다. 수술은 많고, 암술대는 5~9갈래다. 열매는 삭과이며, 막질, 9~10월에 익으면 중앙에서 수평으로 갈라져서 터진다. 씨는 많고, 검은색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식재하며,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에 자생하는 쇠비름은 잎이 마주나며 납작하고, 꽃은 지름 3~4mm로서 작고 노란색이므로 다르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댕명화, 따꽃이라고도 부른다.
다른국명
댕명화
국내분포
전국(식재)
해외분포
남아메리카
서식지/생육지
화단
형태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10~20cm, 붉은빛이 돈다. 잎자루는 없다. 잎은 어긋나며, 원주형, 길이 1~2cm, 끝이 뭉툭하고, 잎겨드랑이에 흰 털이 나며 다육질이다. 꽃은 가지 끝에서 1~3개씩 피며 붉은색, 흰색 또는 노란색, 지름 2.5~4.0cm, 밤에는 오므라든다. 꽃자루는 없다. 꽃받침잎은 2장, 막질, 넓은 난형, 길이 5~7mm이다. 꽃잎은 5장 또는 그 이상, 도란형, 끝이 파진다. 수술은 많고, 암술대는 5~9갈래다. 열매는 삭과이며, 막질, 익으면 중앙에서 수평으로 갈라져서 터진다. 씨는 많고, 검은색이다.
생태
꽃은 7~10월에 핀다.
해설
전국에 자생하는 쇠비름(P. oleracea L.)은 잎이 마주나며 납작하고, 꽃은 지름 3~4mm로서 작고 노란색이므로 다르다.
자료출처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채송화 삽목정보
다육이과인 채송화는 큰기술없이 줄기를 잘라 거름기가 너무 과하지 않는 곳에만 꼽아 놓으면 발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