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된다. 어긋나기로 달리며 창꼴로서 강냉이나 대나무의 잎같은 모양이다.
꽃
우리 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원산지(따뜻한 지방)에서는 8~9월경에 엽초로 싸인 길이 20㎝정도의 화경(花莖)이 자라서 그 끝에 화수가 달리며 황록색의 꽃이 핀다. 꽃은 포엽사이에서 나오고 꽃받침은 짧은 통같으며 화관의 현부가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뾰족하다. 헛수술이 변한 순판은 도란상 원형이고 밑부분 양쪽에 작은 열편이 있으며 자주색 바탕에 연한 황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암술대는 실같이 가늘며 연자주색이고 암술머리는 방사형이다.
줄기
각 마디에서 엽초로 형성된 가짜줄기가 곧추자라 높이 30-50㎝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배열된다.
뿌리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육질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맵고 향기가 있다.
원산지
열대 아시아에 속하는 서인도 지방이 원산지이다.
분포
▶중국, 대만, 인도, 미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북 완주군 봉동면 등 남부지방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60cm이다.
+상세설명
개요
동남아시아 원산이며 따뜻하고 약간 습한 곳에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가지를 치고 연한 노란색, 굵고 옆으로 자란다. 아래쪽 잎집이 서로 감싸서 줄기처럼 자라며 높이 30~60cm, 곧추선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밑부분은 긴 잎집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꽃줄기는 높이 20~30cm다. 꽃받침잎은 통 모양이다. 꽃부리는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조각 끝은 뾰족하다. 입술꽃잎은 도란형으로 보라색 바탕에 노란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1개, 어두운 보라색이고 꽃밥은 길이 9mm쯤이다. 암술대는 가늘고 암술머리는 방사형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아시아 및 아열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한다. 양하에 비해 높이가 30~60cm로 작고, 맵고 향기 나는 뿌리줄기가 굵게 발달하며, 꽃줄기 높이가 20~30cm로 길므로 구분된다. 뿌리줄기를 식용, 약용한다. 새양이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새양
국내분포
남부지방(재배)
해외분포
아시아 열대 지역
서식지/생육지
따뜻하고 약간 습한 곳
형태
뿌리줄기는 가지를 치고 연한 노란색, 굵고 옆으로 자란다. 아래쪽 잎집이 서로 감싸서 줄기처럼 자라며 높이 30~60cm, 곧추선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밑부분은 긴 엽초로 된다. 꽃은 노란색, 꽃줄기는 높이 20~30cm다. 꽃받침잎은 통 모양이다. 꽃부리는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조각 끝은 뾰족하다. 입술꽃잎은 도란형으로 보라색 바탕에 노란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1개, 어두운 보라색이고 꽃밥은 길이 9mm쯤이다. 암술대는 가늘고 암술머리는 방사형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이용및활용
근경을 식용, 약용한다.
해설
양하(Zingiber mioga (Thunb.) Roscoe)에 비해 높이가 30~60cm로 작고, 맵고 향기 나는 뿌리줄기가 굵게 발달하며, 꽃줄기 높이가 20~30cm로서 길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