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며 양면에 다세포로 된 백색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고 소엽은 보통 5개이지만 3-7개인 것도 있으며 좁은 난상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정소엽은 소엽병과 더불어 길이 4-8cm, 폭 2-3cm로서 끝이 뾰족하며 표면 맥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장과는 지름 6-8mm이고 둥글며 흑록색으로 성숙하고 상반부에 1개의 횡선이 있으며 종자는 길이 4mm정도이다.
꽃
꽃은 8-9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원추화서 또는 총상 원추화서로서 길이가 8-15cm이다. 꽃받침열편이 아주 작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는데 열편은
길이 3mm정도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줄기
마디에 흰털이 있고, 이리저리 엉켜서 자라지만 덩굴손으로 기어 올라가기도 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지리적으로는 한국, 일본, 중국 남부에 분포한다.
울릉도 및 남쪽 섬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덩굴초본이다.
+상세설명
개요
남부지방과 울릉도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가늘고 마디에 흰색 털이 모여 난다. 덩굴손은 끝이 1~2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5~7개의 작은 잎으로 된 손바닥 모양 겹잎이다. 잎 양면에 흰색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핀다.
다른국명
덩굴차
국내분포
남부지방, 경상북도(울릉도)
해외분포
말레이시아, 인도, 일본, 중국, 대만; 동아시아
서식지/생육지
섬의 숲 가장자리
형태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덩굴지며, 가늘고 마디에 흰색 털이 모여 난다. 덩굴손은 끝이 1~2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5~7개의 작은 잎으로 된 손바닥 모양 겹잎이다. 작은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4~8cm, 폭 2~3cm, 양 끝은 뾰...
생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해설
국내에 분포하는 박과(Cucurbitaceae)의 다른 식물과 비교하여 잎이 손바닥 모양 겹잎이며, 수술이 합쳐져 원통형을 이루므로 구분된다. 돌외속(Gynostemma)은 세계적으로 5종이 있으며,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돌외 1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