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는 재배가 엄격하게 재한 돼 있고 요즘은 아편이 안 나오는 꽃 양귀비 재배역시 50주 이하로 규정돼고 있다. 이는 아편양귀비 유전자의 열성성을 키워 잡초형질을 강하게 만들어 아편이 덜 나올 뿐이지 약성은 아편양귀비 보다 못하지만 약성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재배가 불법이라 정확한 정보가 많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 페이지에서는 자세히 재배법을 다룬다.
그렇다고 마약재배를 추구하고 돕기위함은 아니다.
파종은 남부지방은 10월 ~ 12사이까지 파종 가능하며 이른 봄에 개화한다. 그리고 2월말에서 ~ 4월초에 파종하면 여름에 개화한다.
배수는 허브작물이라 물빠짐(배수)는 좋아야하며 비료는 묘가 10cm 이상 생장시 기비로 주며 키가 어느정도 자라면 추비로 비료준다.
그리고 생식생장(개화기) 시기에는 시비로 비료준다.
종자를 수확할때는 열매가 갈색으로 마르고 열매의 관이 위를 향하고 여러구멍이 나있을때 종자를 받아내면 된다. 이후 후숙/보존처리(2주 ~ )한다.
종자의 수명은 단명종자로 1년 ~ 2년정도이니 묵은 종자는 새로 수확해 파종시 파종한다.
+상세설명
개요
남유럽 원산이며 약용 또는 관상용으로 밭이나 화단에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50~15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가늘게 갈라지고 길이 7~25cm, 밑부분은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5~6월에 흰색, 붉은색, 보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한 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2장, 길이 15~20mm,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장, 둥글며 길이 4~7cm, 폭 3~11cm다. 열매는 삭과, 6~7월에 갈색으로 익는데 타원형, 길이 4~9cm, 표면에 털이 없다. 씨는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이다. 우리나라 북부지방, 아프가니스탄, 인도, 라오스, 미얀마 등 서남아시아에서 재배하며, 남유럽에 분포한다. 약용, 관상용으로 심고, 전초를 약용한다. 아편꽃, 앵속, 약담배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아편꽃
국내분포
북부지방(재배)
해외분포
남유럽, 서남아시아
서식지/생육지
재배
형태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50~15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가늘게 갈라지고 길이 7~25cm, 밑부분은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흰색, 붉은색, 보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한 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2장, 길이 15~20mm,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장, 둥글며 길이 4~7cm, 폭 3~11cm다. 열매는 삭과, 타원형으로 길이 4~9cm, 표면에 털이 없다. 씨는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이다.
생태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해설
남유럽 원산으로 약용 또는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며, 알칼로이드 계통의 마약 성분(heroin, morphine)이 있어 법적으로 재배와 유통이 규제된다. 여름이 짧고 일교차가 뚜렷한 지대에서 잘 자라는데, 아프카니스탄, 인도, 라오스, 미얀마 등지에서 주로 재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