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根牲葉:뿌리에서 나는 잎)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13-15cm, 폭 4-4.6cm로서 엽병에 날개가 있고 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짙은 녹색이다. 잎의 뒷면에는 맥위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끝은 뾰족하다.
열매
열매는 삭과이다.
꽃
화경(花莖)은 높이 38cm로서 밑부분에 성모가 있으며 중앙이상에 퍼진 선모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상 총상화서로 달린다.
포(苞)는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길이는 1-2.5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소포는 선형이고 길이
2-5mm로서 짧으며 털이 없다. 소화경에는 선모가 있고 길이가 1-2mm로서 짧다. 꽃받침은 중앙이상에서 갈라지는데 길이 2mm로서 털이
없다. 꽃잎은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3.5mm로서 백색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밥은 붉은 빛이 돌고 암술대는 두 개이다.
줄기
높이 20cm에 달하고 털이 다소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는 20cm가량 자란다.
+상세설명
개요
고산지대 습기가 많은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20cm 정도이다. 전체에 털이 다소 있다. 뿌리잎은 장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잎자루에 날개가 있고 길이 13~15cm, 너비 4~4.6cm이며 가장자리에 이모양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 맥 위에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꽃자루 높이는 38cm에 달하고 하부에는 별모양털이 있으며 윗부분에는 퍼진 샘털이 있다.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피는데 취산상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싸개잎은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작은꽃싸개잎은 선형이고 작은꽃자루에 샘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꽃잎은 5개로 장타원형, 열매는 삭과이다. 한반도 함경남도 남포태산, 함경북도 관모봉, 평안북도 묘향산 등 주로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잎이 있는 줄기가 없으며, 잎몸은 도피침상 주걱형으로 잎자루가 명확하지 않고, 꽃잎이 도피침형이며, 꽃잎에 꿀샘이 없는 점에서 구름범의귀를 비롯한 속 내 다른 분류군들과 구별된다. 주걱잎범의귀, 범의귀풀이라고도 한다.
형태
다년초로 높이 20cm 정도이고 털이 다소 있다. 근생엽은 장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엽병에 날개가 있고 길이 13~15cm, 너비 4~4.6cm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 맥 위에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꽃자루 높이는 38cm에 달하고 하부에는 성모가 있으며 윗부분에는 퍼진 선모가 있다. 꽃은 백색이고 취산상 총상화서에 달린다. 포는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소포는 선형이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꽃잎은 5개로 장타원형, 열매는 삭과이다. 개화기는 7~8월이다. 씨로 번식한다. 본 종은 잎에 치아상 톱니가 있고 꽃이 밀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