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네모지며 털이 약간 있다. 잎은 마주나며 가운데 잎은 2회 깃털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12~18mm다. 우산털에 아래를 향해 난 가시 같은 털이 있어 동물의 몸을 비롯한 물체에 잘 붙는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서식지/생육지
산야의 햇볕이 잘 드는 지대
형태
줄기는 높이 25~85cm이며 네모지고 털이 조금 있다. 잎은 마주나며 가운데 잎은 2회 깃털 모양으로 갈라진다. 위로 갈수록 잎 크기는 작아지며, 밑부분의 잎은 3회 깃꼴로 갈라진다. 작은 잎은 장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5~5cm,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지름 6~10mm, 노란색이다. 꽃대는 길이 1.5~8.5cm다. 모인꽃싸개는 통 모양이다. 꽃싸개조각은 5~7개, 선상 장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다. 혀모양꽃은 1~3개로 열매를 맺지 않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12~18mm, 폭 1mm, 좁은 줄모양이다. 우산털은 거꾸로 된 가시가 있다. 다른 물체나 동물에 잘 붙는다.
생태
꽃은 8~9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맺는다.
해설
우산털에 아래를 향해 난 가시 같은 털이 있어 동물의 몸을 비롯한 물체에 잘 붙는다. 동물에 의해 종자가 전파되는 대표적인 예다. 태평양의 섬에 자생하고 있는 본 속의 종들은 이러한 우산털이 작아지고 가시가 약화되는 전파력의 퇴화가 발견되는데, 이는 섬에서 진화한 식물들 중 전파력을 상실한 대표적인 예다(Carlquist 1974).
간의 섬유증(liver fibrosis)을 치료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Zhong et al. 2007; Yan et al.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