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십자화과]
미나리냉이
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var. leucantha 
|
|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 
|
|
|
[버드나무과]
미루나무
Populus deltoides Marsh. 
|
|
|
[참나무과]
밤나무
[율자(栗子)]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소화기 질환 |
용 법 : 잘 익은 밤을 껍질을 벗겨서 생으로 또는 말려서 사용한다.
위장과 비장의 기능을 강화시켜서 소화불량, 구역질, 설사를 치료
효 능 : 신체 허약증, 설사, 혈변, 구역질, 구토, 건위, 소화 성 분 : 녹말, 포도당, 자당, 페토산(pentosan), 리파제(lipase)
|
|
[꿀풀과]
방아풀
Isodon japonicus (Burm.) Hara 
|
|
|
[산형과]
방풍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Wolff 
순환기 질환 |
|
|
[꿀풀과]
배초향
Korean mint Agastache rugosa (Fisch. & Mey.) Kuntze 
피부.비뇨기 질환 |
|
|
[가지과]
배풍등
Solanum lyratum Thunb. ex Murray 
내분비 질환 |
|
|
[국화과]
백두산떡쑥
Antennaria dioica (L.) Gaertn. 
|
|
|
[벽오동과]
벽오동
green pauwlonia Firmiana simplex (L.) W.F.Wight 
치아 질환 |
|
|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
Littleleaf linden tree Elaeagnus umbellata Thunb. 
호흡기 질환 |
|
|
[봉선화과]
봉선화 , 봉숭아
Balsam Impatiens balsamina L. 
여성 질환 |
|
|
[백합과]
부추
Chinese Chives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 
순환기 질환 |
|
|
[콩과]
비수리 , 야광문
Lespedeza cuneata G.Don 
|
|
|
[장미과]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호흡기 질환 |
|
|
[뽕나무과]
뽕나무
White mulberry Morus alba L. 
순환기 질환 |
|
|
[국화과]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내분비 질환 |
|
|
[붓꽃과]
샤프란 , 사프란
Saffron crocus, autumn crocus Crocus sativus L. 
여성 질환 |
|
|
[물푸레나무과]
산개나리
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
|
|
[장미과]
산사나무 , 산사자
[산사자, 산사육] Mountain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or. pinnatifida 
소화기 질환 |
용 법 : 붉게 물든 열매를 채취하여 반으로 나눠서 씨앗은 빼고 햇볕에 말려서 물과 함께 약한 불에 달여서 마시거나 가루로 내서 먹는다.
효 능 : 소화불량, 식중독, 식체, 장염, 요통, 생리통, 산후복통, 건위제, 진통, 지사, 이뇨, 위통, 항균작용
성 분 : 히페로사이드(hyperoside), 쿠에르세틴 (quereetin),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히페린(hyperin), 탄닌(tannin), 오레인산, 비타민 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