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Lonicera praeflorens 분류 인동과 분포지역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 자생지 산지의 숲속 크기 높이 약 1m
올아귀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어린 가지는 갈색 바탕에 검은빛 반점이 있으며 묵은 가지는 잿빛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줄기의 속은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이고 길이 3∼6cm, 나비 2∼4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근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5mm이다.
꽃은 3∼5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는데, 묵은 가지 끝에서 길이 2∼3mm의 꽃자루가 나와 2송이씩 달린다. 꽃자루에는 잔털이 나고 선점(腺點)이 있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가운데가 갈라지고 화관은 짧고 5갈래로 갈라지며 위·아랫입술꽃잎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수술은 5개로서 화관보다 약간 길다. 열매는 장과로서 공 모양이고 5∼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주로 심는다.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에 분포한다.
+상세설명
개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 숲 속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3m, 속이 흰색으로 꽉 찬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묵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다른국명
올아귀꽃나무
국내분포
전국(제주도 제외)
해외분포
러시아(동시베리아), 중국(동북부)
서식지/생육지
숲 속
형태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3m, 속이 흰색으로 꽉 찬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 폭 1.5~3.0cm, 가장자리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어린잎은 양면에 흰색 털이 많다. 잎자루는 길이 2~4mm다. 꽃은 잎보다 ...
생태
낙엽 떨기나무다. 꽃은 3~4월에 피며,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해설
길마가지나무(Lonicera harai Makino)와 함께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데, 길마가지나무에 비해서 꽃은 붉은빛을 띠고, 화관 갈래의 모양과 크기가 비슷하며, 열매는 밑부분만이 합쳐지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