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개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결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상세설명
목 명 |
장미목 |
한 글 |
매듭풀 |
---|
과 명 |
콩과 |
한 자 |
|
---|
속 명 |
|
향 명 |
돗수에, 돗치기쿨(제주) |
---|
구 분 |
|
---|
학 명 |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
---|
일 어 |
|
---|
영 문 |
|
---|
원산지 |
한국 |
---|
분 포 |
전국 각처에 분포. |
---|
형 태 |
1년생 초본 |
---|
크 기 |
높이 10~30cm, |
---|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긴 도란형이고 길이 1~1.5cm, 나비 5-8mm로서 끝이 둥글거나 다소 파진다. 엽병은 짧고, 잎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
---|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엽액에 1~2송이씩 달리며 화경이 짧고 포와 소포는 각 5-7맥이 있다. 꽃받침은 짧은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길이 5mm정도로서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며 수술은 10개이고 폐쇄화에는 꽃잎이 없다. |
---|
열 매 |
열매는 협과로 둥글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
줄 기 |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다. |
---|
뿌 리 |
|
---|
▶매듭풀, 둥근매듭풀의 전초를 鷄眼草(계안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7-8월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으로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계안초의 잎에는 flavonoid類 및 gluocose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健脾(건비), 利濕(이습)의 효능이 있다. 感冒發熱(감모발열), 暑濕吐瀉(서습토사), 말라리아, 이질, 傳染性肝炎(전염성간염), 熱淋(열림), 白濁(백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즙액을 바른다. |
쌍떡잎식물
+
상세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