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식물도감 > 상세정보
흰솔나리 , Lilium cernuum var.candidum , 백합과 , 구근 , Bulbous plant , 월동 , winter , 야생화 , Wild flower , 다년생 , Perennial Plant
개요
고산지대의 떨기나무 숲, 풀밭으로 된 산기슭 등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비늘줄기는 희며, 긴 난형, 조각이 촘촘히 붙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털이 없고, 높이 30~80cm다. 잎은 주로 줄기 가운데 부분에 촘촘히 어긋나며, 가는 선형, 길이 4~18cm, 폭 0.1~0.3cm, 털이 없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8월에 줄기 끝에서 1~6개씩 옆이나 밑을 향해 달리며, 분홍색 또는 붉은 보라색, 드물게 흰색이다. 꽃자루는 5~15cm다. 화피는 6장, 피침형, 길이 3.0~4.5cm, 폭 0.8~1.0cm, 뒤로 젖혀진다. 화피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6개, 꽃밥은 붉은색이고 길이 10mm쯤이다. 암술은 한 개, 암술대는 씨방보다 훨씬 길다. 열매는 삭과다. 우리나라 남덕유산 이북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땅나리에 비해서 잎은 더욱 가늘어서 솔잎 같고, 꽃은 크며 분홍색 또는 붉은 보라색이므로 구분된다. 비늘줄기는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흰솔나리, 솔잎나리, 검솔잎나리라고도 부른다.
형태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80cm다. 잎은 가는 선형으로 길이 4∼18cm, 폭 0.1∼0.3cm이다. 꽃은 7∼8월에 줄기 끝에서 1∼6개씩 옆이나 밑을 향해 달리며, 분홍색 또는 붉은 보라색이다. 화피는 6장이며, 뒤로 젖혀진다. 화피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국내분포
경남 남덕유산 및 경북 금오산 이북
이용및활용
비늘줄기는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해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지정 사유: 2012년까지 멸종위기야생식물로 관리되었던 식물이며, 관상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이다.
10월 22일
벗풀 (Arrow-Head) - 신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