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Taraxacum platycarpum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일본 서식장소 들의 볕이 잘 드는 곳 크기 잎 길이 6∼15cm, 폭 1.2∼5cm
들판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진다. 잎은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고 길이가 6∼15cm, 폭이 1.2∼5cm이며 깃꼴로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약간 있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과 길이가 비슷한 꽃대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1개 달린다. 꽃대에는 흰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두상화 밑에만 털이 남는다. 총포는 꽃이 필 때 길이가 17∼20mm이고, 바깥쪽 총포 조각은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 모양이며 곧게 서고 끝에 뿔 모양의 돌기가 있다
.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3∼3.5mm의 긴 타원 모양이며 갈색이고 윗부분에 가시 같은 돌기가 있으며 부리는 길이가 7∼8.5mm이고 관모는 길이가 6mm이며 연한 흰빛이 돈다. 봄에 어린 잎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蒲公英)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유방염·인후염·맹장염·복막염·급성간염·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제로도 사용한다. 한국·중국·일본에 분포한다.
+상세설명
개요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나와 옆으로 퍼지며,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3~5월에 꽃줄기 끝의 머리모양꽃차례에 피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5~4.5cm다. 총포의 바깥 조각은 난상 긴...
국내분포
전국
서식지/생육지
햇볕이 잘 드는 들판, 길가, 목장 지대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나와 옆으로 퍼지며, 길이 20~30cm,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3~5월에 꽃줄기 끝의 머리모양꽃차례에 피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5~4.5cm다. 총포는 길이 1.7~2.0cm이며, 바깥 조...
생태
꽃은 3~5월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맺는다.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 자라고 원뿌리가 땅속 깊게 자라며 해가 갈수록 굵고 길어진다. 땅 위의 잎이 손상되더라도 뿌리에서 다시 순이 나와서 자란다.
해설
우리나라의 봄을 대표하는 식물로서 전국의 산야에 자라는 다년초이나 점점 보기 힘들어지는 분류군이다. 도시에서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인 서양민들레에 밀려서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2007년 발간된 한국속식물지에서는(Flora of Korea Editorial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