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부처꽃 사진 -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Photos

부처꽃 사진 -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Photos 부처꽃 사진 -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Photos 부처꽃 사진 -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Photos

부처꽃

학 명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영문명
부처꽃과
원산지
다년초여부
다년생 - Perennial plant
기타
야생화 - Wild flower 월동가능 - winter 약용식물 - Medicinal plants
번식법
씨앗
잎종류
꽃색
최대성장
최저온도
휴면온도
적정온도
발아온도
  • 전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파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개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결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정보제공해주신분
상세설명
+ 상세설명
개요
습지 및 냇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50~100cm 높이로 곧추서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마주나며 짧은 잎자루가 있거나 없다. 길이는 3~4cm, 폭은 1cm 내외로서 끝은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자홍색으로 피는데 상부의 잎겨드랑이에서 3~5개가 취산상으로 달리며 마디에 돌려나는 것처럼 보인다. 꽃차례의 꽃싸개잎은 보통 옆으로 퍼지며 기부가 좁고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다. 꽃받침은 능선이 있는 원주형으로 상부에서 6개로 얕게 갈라진다. 꽃잎은 6개이고, 꽃받침통 끝에 긴 도란형으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8월에 익으며,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한반도 거의 전역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식물체의 털의 유무 또는 다소에 의해 털부처꽃과 구분하고 있으나 털의 변이가 커서 동일종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꽃받침통은 원통형으로 길고, 꽃잎이 6개인 점에서 꽃받침통이 종형 또는 구형으로 꽃잎이 4~5개인 좀부처꽃 및 마디꽃과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전초는 약용한다. 두렁꽃이라고도 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키 0.6-1m이고, 거의 무모이다. 잎은 난상 피침형 내지 넓은 피침형으로, 3-10×0.5-1.5cm이며, 예두이고, 설저 내지 넓은 설저로, 줄기를 감싸지 않으며, 엽병은 없거나 거의 없다. 화서는 수상화서로, 줄기 상부에 달리고, 길이 15-40cm이다. 포는 넓은 피침형 내지 난상 타원형이다. 꽃은 짧은 소화경에 달리며, 악편은 삼각상이고, 길이 0.5-1mm이며, 부속체는 수평으로 펼쳐져 있고, 선형으로, 길이 0.5-0.7mm이다. 화판은 자색 또는 적자색으로, 좁은 도란형이며, 0.7-1×0.15-0.3cm이다. 수술은 12개로, 2열한다. 삭과는 난형이고, 포간개열하며, 2실이다. 종자는 다수이다. 염색체 수 2n=30.
다른국명
두렁꽃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서식지/생육지
낮은 지대의 습지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이용및활용
관상용으로 심으며, 전초는 약용한다.
해설
부처꽃은 국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국립생물자원관(KB), 국립수목원(KH) 등 국내 주요 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는 표본을 관찰한 결과, 본 종의 기재와 일치하는 표본은 관찰할 수 없었다. 본 종의 한반도 분포 여부 및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자료출처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 부처꽃 코멘트
+ 부처꽃 관련식물
+ 부처꽃 과 혼동하기 쉬운식물
부처꽃
ⓒⓒⓒ | 10.11
부처꽃
글로시아 | 09.15
부처꽃
ⓒⓒⓒ | 06.1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네이버밴드에 공유
햇빛 양지
반양지
반음지
음지
 물  1일에 한번
3일에 한번
5일에 한번
7일에 한번
2주에 한번
토양(배양토) 배수성
통기성
유기질
염분
습기
공중분무
상관없음
토양(PH) 산성
약산성
중성
약알카리성
알카리성
통풍 통풍
원활
보통
상관없음
재배난이도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발아난이도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삽목난이도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등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