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꽈리 사진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 Hort Photos

꽈리 사진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 Hort Photos 꽈리 사진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 Hort Photos 꽈리 사진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 Hort Photos

꽈리

학 명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 Hort
영문명
Lampionblume
가지과
원산지
한국
다년초여부
다년생 - Perennial plant
기타
야생화 - Wild flower 월동가능 - winter 약용식물 - Medicinal plants
번식법
씨앗
잎종류
꽃색
최대성장
최저온도
휴면온도
적정온도
발아온도
15~20℃
발아기간
10~15일 (암발아)
  • 전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파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개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결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정보제공해주신분
상세설명

잎은 호생하지만 한군데에서 2개씩 나오며 그 틈에서 꽃이 피고 넓은 난형이며 엽병이 있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2cm, 나비 3.5-9cm로서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잎 사이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4cm이고 꽃받침은 짧은 통형이며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화관은 복형(輻形)이며 약간 누른빛이 돌고 지름 1.5cm정도이며 가장자리가 5개로 약간 갈라지고 

꽃이 핀 다음 꽃받침은 길이 4-5cm로 자라 난형으로 되며 열매를 완전히 둘러싼다. 5개의 수술이 있다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씨앗으로 번식하는데 한번 파종하면 여러 해 동안 계속 재배할 수 있다. 

보통은 두엄, 용과린 등을 주고 충분히 땅을 고른 다음 씨를 뿌리는데, 씨가 작으므로 잔 모래를 섞어서 흩어뿌린 후 0.5cm 정도로 흙을 덮는다. 

싹튼 후에는 묽은 덧거름을 주고 적당히 풀뽑기를 해 주면 당년에 결실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열매는 식용한다. 

▶全草는 酸漿(산장), 根은 酸漿根(산장근), (숙존악) 및 과실은 掛金燈(괘금등)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酸漿(산장) 

    ①전초를 여름에 채취한다. 

    ②성분 : Physalin A, physalin B, physalin C, luteolin 및 luteolin-7-β-d-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利尿(이뇨)의 효능이 있다. 熱咳(열해), 咽痛(인통), 황달, 이질, 浮腫(부종), (정창), 丹毒(단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짓찧어서 즙을 내거나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가루를 만들어 골고루 바르거나 짓찧어 바른다. 

⑵酸漿根(산장근) 

    ①성분 : Alkaloid, 3α-tigloyloxytropane을 함유한다. 

    ②약효 : 淸熱(청열), 利水(이수)의 효능이 있다. 말라리아, 황달, Hernia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6g(신선한 것은 24-30g)을 달여 복용한다. 

⑶掛金燈(괘금등) 

    ①가을에 과실이 성숙하여 숙존악이 적색 또는 등황색으로 변했을 때 채취해서 과실을 제거하거나 혹은 과실이 붙은 채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Carotenoid 성분의 physalien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利尿(이뇨)의 효능이 있다. 骨蒸勞熱(골증노열), 咳嗽(해수), 咽喉腫痛(인후종통), 황달, 浮腫(부종), 天泡濕瘡(천포습창-天泡瘡(천포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이거나 혹은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물에 달여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또는 가루로 만들어 목에 불어서 붙인다.

+ 상세설명
개요
마을 근처에 저절로 자라거나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땅속에 길게 뻗으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40~8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둥근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5~12cm, 폭 3~9cm이다. 잎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며, 종 모양으로 지름 1~2cm이다. 꽃자루는 길이 1.0~1.5cm이다. 꽃받침은 짧은 종 모양으로 길이 1cm쯤이며, 5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근 모양으로 지름 1.0~1.5cm, 7~8월에 붉게 익는다. 꽃받침은 주머니 모양으로 자라서 열매를 완전히 둘러싼다. 우리나라 전역에 저절로 자라거나 심어 기르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땅꽈리에 비해서 전체에 뿌리줄기가 발달하고 털이 없으며, 꽃이 크므로 구분된다. 땅꽈리는 한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가 거의 없으며, 꽃은 지름 5~7mm로서 작고, 열매는 녹색으로 익으므로 구별된다. 뿌리와 열매는 약용하며, 꼬아리, 때꽐이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꼬아리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서식지/생육지
마을 근처에 저절로 자라거나 심어 기른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땅속에 길게 벋으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40~8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둥근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5~12cm, 폭 3~9cm이다. 잎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며, 종 모양으로 지름 1~2cm이다. 꽃자루는 길이 1.0~1.5cm이다. 꽃받침은 짧은 종 모양으로 길이 1cm쯤이며,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근 모양으로 지름 1.0~1.5cm, 붉게 익는다. 꽃받침은 주머니 모양으로 자라서 열매를 완전히 둘러싼다.
생태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해설
땅꽈리(P. angulata L.)에 비해서 전체에 뿌리줄기가 발달하고 털이 없으며, 꽃이 크므로 구분된다. 땅꽈리는 한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가 거의 없으며, 꽃은 지름 5~7mm로서 작고, 열매는 녹색으로 익는다.

자료출처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 꽈리 코멘트
꽈리
블루트리 | 08.11
꽈리
관리자 | 09.2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네이버밴드에 공유
햇빛 양지
반양지
반음지
음지
 물  1일에 한번
3일에 한번
5일에 한번
7일에 한번
2주에 한번
토양(배양토) 배수성
통기성
유기질
염분
습기
공중분무
상관없음
토양(PH) 산성
약산성
중성
약알카리성
알카리성
통풍 통풍
원활
보통
상관없음
재배난이도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발아난이도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삽목난이도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등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