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사철나무 사진 - Euonymus japonicus Thunb. Photos

사철나무 사진 - Euonymus japonicus Thunb. Photos 사철나무 사진 - Euonymus japonicus Thunb. Photos 사철나무 사진 - Euonymus japonicus Thunb. Photos
사철나무줄기 Euonymus japonicus Thunb. trunk






통풍



사철나무

학 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영문명
Japanese Spindle
노박덩굴과
원산지
꽃말
변화 없음
다년초여부
다년생 - Perennial plant
기타
월동가능 - winter 상록수 - Evergreen plants
번식법
씨앗 삽목
잎종류
꽃색
최대성장
최저온도
휴면온도
적정온도
발아온도
  • 접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전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삽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파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개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결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정보제공해주신분
상세설명
철나무(Euonymus japonica)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해안가 지역에 자생하는 상록성 나무입니다. 줄기에서 마주나는 진녹색 잎에는 비닐질의 반짝이는 광택이 있으며 꽃은 여름에 잎겨드랑이로부터 꽃줄기가 자라나와 아주 작은 황녹색꽃들이 그 끝부분에 무리지어 달리게 됩니다. 꽃이 지고 나면 달리는 열매는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가을이 되면서 붉은 색으로 익으며 갈라져서는 붉은 씨앗을 드러내게 됩니다. 종류에는 잎이 푸른 사철나무 이외에 잎에 하얀 무늬가 든 은시철, 노란 무늬가 든 금사철, 덩굴이 져 땅을 기면서 뒤덮으며 줄사철, 마주나는 잎이 탑처럼 층을 져 자라 올라가는 탑사철 등이 있습니다.


일년 내내 직사광선을 충분히 받도록 하며 관리합니다.

물주기
토양습도가 높은 것을 좋아하는 식물이므로 너무 건조하게 키우면 잎이 거칠어 보이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토양이 배수가 잘 된다는 전제 하에 쾌적할 정도의 적정한 토양습도를 유지하고 있도록 해줍니다.

온도
정원에 심어 두고 키우는 경우 실외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화분에 심어 키우는 경우 서리에 피해가 있기 전에 직사광선이 들면서 화분흙이 얼지 않을 정도로 차가운 실내로 들여 놓습니다.

토양
토양을 별로 가리지 않는 편이나 통기성이 좋고 배수가 잘되는 모래질 토양을 좋아합니다.

거름주기
한참 성장기에 고형비료를 화분가에 아주 조금만 올려주고 물비료를 규정농도보다 약하게 타서 월1회 정도 물주기를 대신해 줍니다.

번식
새순들을 잘라 꺽꽂이로 번식시킵니다.

분갈이
화분안에 뿌리가 가득 둘러차면 보다 큰 화분을 선택하여 새흙으로 갈아심어줍니다.

+ 상세설명
개요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바닷가 주변 산기슭에 자라는 상록성 활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6m다. 가지는 녹색이며, 매끈하다. 잎은 마주나며, 가죽질,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3~7cm, 폭 2~4cm,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이 나며, 뒷면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잎자루는 0.8~1.5cm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녹색이 도는 흰색, 지름 7mm쯤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4장, 난형, 길이 3~4mm다. 수술은 4개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으면 4갈래로 갈라져서 씨가 나온다. 씨는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 껍질에 싸여 있다. 이 종은 소지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없어 매끈한 특징이 있으므로 소지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는 좀사철나무와 구별된다. 줄사철나무에 비해서 줄기는 덩굴성이 아니라 곧추서며, 공기뿌리가 없고, 가지는 매끈하므로 구분된다. 정원수, 방풍림, 생울타리로 심으며, 근피와 열매는 약용한다. 우리나라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등 중부 이남에 나며,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
국내분포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해외분포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서식지/생육지
바닷가 주변 산기슭
형태
상록 떨기나무다. 줄기는 높이 2~6m다. 가지는 녹색이며, 매끈하다. 잎은 마주나며, 가죽질,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3~7cm, 폭 2~4cm,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이 나며, 뒷면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잎자루는 0.8~1.5cm다. 꽃은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녹색이 도는 흰색, 지름 7mm쯤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4장, 난형, 길이 3~4mm다. 수술은 4개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으면 4갈래로 갈라져서 씨가 나온다. 씨는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 껍질에 싸여 있다.
생태
꽃은 6~7월에 핀다.
해설
이 종은 소지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없어 매끈한 특징이 있으므로 소지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는 좀사철나무와 구별된다. 줄사철나무에 비해서 줄기는 덩굴성이 아니라 곧추서며, 공기뿌리가 없고, 가지는 매끈하므로 구분된다.

자료출처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 사철나무 삽목정보
당년가지 10cm로 잘라 삽목한다. 발근이 잘되는 수종으로 노지의 경우 장마때 대량으로 하거나 겨울을 제외한 계절에 수시로 삽목 후 차광한 후 물만 잘주면 대부분 뿌리를 내린다.
+ 사철나무 코멘트
+ 사철나무 과 혼동하기 쉬운식물
사철나무
글로시아 | 04.30
무늬사철 성목
블루트리 | 11.25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
ⓒⓒⓒ | 02.03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
ⓒⓒⓒ | 02.03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
ⓒⓒⓒ | 02.03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
ⓒⓒⓒ | 02.03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
ⓒⓒⓒ | 02.03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
ⓒⓒⓒ | 02.03
사철나무
글로시아 | 04.30
사철나무
글로시아 | 04.30
작년 여름에 삽목했던 황금사철
블루트리 | 01.25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햇빛  물  토양(배양토) 토양(PH) 통풍 재배난이도 발아난이도 삽목난이도
양지
반양지
반음지
음지
1일에 한번
3일에 한번
5일에 한번
7일에 한번
2주에 한번
배수성
통기성
유기질
염분
습기
공중분무
상관없음
산성
약산성
중성
약알카리성
알카리성
통풍
원활
보통
상관없음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아주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아주어려움

등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