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수원사시나무라고도 한다. 계곡이나 산기슭 아래에서 잘 자란다. 1950년 미국산 은백양과 수원사시나무 사이에서 생긴 자연잡종이다. 은백양과 비슷하지만 잎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고 가지가 더 적게 갈라지며 잎의 털이 떨어지기도 한다.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고 흰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 또는 둥근 모양이며 길이 3∼8cm, 너비 2∼7cm이다. 불규칙한 이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는 흰 솜털이 빽빽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5cm로서 납작하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거나 암수딴그루이고 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빛깔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고 꽃차례는 아래로 처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5월에 익는다. 번식은 꺾꽂이로 한다.
수원사시나무에 비해 잎에 털이 빽빽이 난다. 수원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에서 갈라진 종류로서 사시나무와 비슷하다. 은백양과 수원사시나무를 인공적으로 교배하여 만든 것을 은수원사시나무 또는 현사시나무라고 하지만 은사시나무와 구별하기 어렵다. 관상수·가로수로 많이 심으며 생장력이 강하다. 민간에서는 나무껍질과 잎을 출혈·치통 등에 약재로 쓴다.
+상세설명
개요
비교적 낮은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에 흩어져 자라거나, 전국적으로 널리 식재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20m, 지름 50cm 정도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오래되면 기부에서 세로로 얕게 터지기도 하고, 겨울눈은 흰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이 1~5cm로 납작하고 흰색 털이 밀생한다. 잎몸은 타원형, 난형 또는 원형으로 잎밑은 뾰족하거나 둥글며,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끝은 뾰족하며,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로 떨어진다. 꽃은 4월 잎이 나기 전에 암수딴그루로 피는데 짧은가지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회갈색 및 적갈색이다. 수꽃차례와 암꽃차례는 각각 길이 7cm와 5cm 정도이다. 열매는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겉에 털이 없다. 우리나라 강원, 경기 등 중부지역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수원사시나무와 은백양 사이의 자연잡종이다. 이 종은 겨울눈과 잎몸 뒷면의 털의 특성 등 형태적으로 은백양과 유사하지만 은백양과 달리 잎몸의 가장자리가 전혀 결각이 없는 점에서 구별된다. 목재는 젓가락, 이쑤시개, 빙과류 꼬지 등의 단판제품이나 포장재, 펄프로 이용한다. 은수원사시나무라고도 부른다.
형태
수원사시나무와 은백양 사이의 자연잡종이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길이 3~8cm, 나비 2~7cm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뒷면은 백색 면모가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진다. 꽃은 4월에 피며 열매는 5월에 익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