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식물도감 > 상세정보
댕댕이덩굴 , Cocculus trilobus , Cocculus orbiculatus , 방기과 , 야생화 , Wild flower , 덩굴식물 , Vine , 일년생 , Annual Plant
목 명 | 미나리아재비목 | 한 글 | 댕댕이덩굴 |
---|---|---|---|
과 명 | 방기과 | 한 자 | 木香, 毒木香, 木防己. |
속 명 | 향 명 | 고냉이정당, 정동껍(제주), 댄담덩쿨(전남 화순) | |
구 분 | |||
학 명 | Cocculus trilobus DC. | ||
일 어 | |||
영 문 | Trilobus Coralbeads, Snail Seed |
일반정보 |
원산지 | 한국 |
---|---|
분 포 |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700m사이에 자란다. |
형 태 | 낙엽활엽 만목 |
크 기 | 길이 3m |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아심장저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잔털이 많고 3-5출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거치가 없지만 얕은 결각이 있는 경우도 있다. |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출(腋出)한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6개, 수꽃의 수술이 6개이고 암꽃에는 6개의 헛수술, 3개의 심피와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대는 원주형으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
열 매 | 핵과는 거의 구형이고 지름은 5-8mm이며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지름 4㎜정도의 편평한 원형에 가까우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많은 환상선(環狀線)이 있다. |
줄 기 |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줄기가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된다. |
뿌 리 |
생육환경 |
산기슭 양지 및 밭둑의 돌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고, 내한성이 강하며 양지를 좋아하고 전석지나 황폐지 등의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
광선 | 양생 | 내한성 | 강함 | 토양 | 보통 | 수분 | 건조 |
---|
꽃/번식방법 |
▶번식은 종자를 파종하여 실생으로 하며, 삽목, 휘묻이로도 증식하기도 한다. |
개화기 | 5월,6월 | 꽃의 색 | 노란색,흰색 |
---|
재배작형 | 파종기 | 이식기 | 결실기 | 10월 | 삽목기 |
---|
이용방안 |
▶어린 식물체를 나물로 먹는다. ▶줄기는 탄력성이 좋아 바구니 등의 세공용으로 사용한다. ▶모양이 예쁘고 싱싱한 녹색의 잎과 여름에 피는 황백색 꽃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어 정원이나 공원의 파골라에 심으면 좋다. ▶根(근)은 木防己(목방기), 莖(경)과 葉(엽)은 靑檀香(청단향)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木防己(목방기) ①가을에서 이듬해 봄에 캐어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Biscoclaurine型(형)의 alkaloid의 trilobine, isotrilobine, homotrilobine, trilobamine, normenisarine, magnoflor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消炎(소염), 이뇨, 진통약으로서 祛風濕(거풍습), 이뇨,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사증의 복통, 류머티성 관절통, 반신불수, 腎炎浮腫(신염부종), 요로감염, 정창, 습진, 無名腫毒(무명종독), 신경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21g을 달이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 또는 짓찧어 즙을 내어 塗布(도포)한다. ⑵靑檀香(청단향) ①줄기와 잎을 10-11월에 채취한다. ②성분 : Alkaloid인 cocculolidine, isobold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거풍), 利濕(이습),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諸風痲痺(제풍마비), 痰濕流注(담습유주), 脚膝瘙痒(각슬소양), 위통, 발사, 氣痛(기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
특징 |
▶댕댕이덩굴은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나는 수종에는 생달나무, 육박나무, 후박나무, 보리밥나무, 자금우, 모람, 송악등의 상록수종과 큰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말채나무, 산돌배나무, 쉬나무, 소사나무, 이팝나무, 쇠물푸레등이 있다. ▶목부(木部)를 목방기(木防己)라 한다. |
10월 22일
벗풀 (Arrow-Head) - 신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