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09.09
Home > 식물도감 > 상세정보
누리장나무 , Clerodendrum trichotomum , Harlequin Glorybower , 마편초과 , 월동 , winter , 다년생 , Perennial Plant
목 명 | 통화식물목 | 한 글 | 누리장나무 |
---|---|---|---|
과 명 | 마편초과 | 한 자 | 海洲棠山, 香楸 |
속 명 | 향 명 | 개나무,구릿대나무,누리개나무,누룬나무,개똥나무,개낭,개똥낭(제주),누루대(영남) | |
구 분 | |||
학 명 |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 ||
일 어 | |||
영 문 | Harlequin Glorybower |
일반정보 |
원산지 | 한국. |
---|---|
분 포 |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의 표고 100~1,600m 사이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
형 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
크 기 | 높이 2m 정도로 자란다. |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8~20cm, 폭 5-1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지만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희미한 선점이 퍼져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큰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로서 털이 있다. |
꽃 | 꽃은 양성화로 8-9월에 피고, 새가지 끝에 달리는 취산화서는 나비 24㎝이며 털이 있거나 없다. 꽃받침은 홍색이 돌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화관은 지름 3c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백색이다. 4개의 수술이 길게 화관 밖으로 나온다. |
열 매 | 지름 6-8㎜로서 둥근 모양의 핵과는 10월에 벽색으로 익으며 적색의 꽃받침에 싸여 있다가 밖으로 나출된다. |
줄 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다. 줄기 전체에서 누린내가 난다. 수피는 회백색이며 골속은 백색이다. |
뿌 리 |
생육환경 |
산록이나 계곡 또는 바닷가에서 자라며 햇빛이 잘 드는 전석지나 바위사이에서 자란다. 물빠짐이 좋은 사질토양이 좋고 내한성과 내공해성이 강하다. |
광선 | 양생 | 내한성 | 강함 | 토양 | 보통 | 수분 | 보통 |
---|
꽃/번식방법 |
가을에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녹지삽목에 의해 번식한다. |
개화기 | 8월,9월 | 꽃의 색 | 흰색 |
---|
재배작형 | 파종기 | 3월,4월 | 이식기 | 3월,4월 | 결실기 | 10월 | 삽목기 |
---|
이용방안 |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도시내 조경용수로 다양하게 식재할 수 있다. 정원수, 공원용수로 식재한다. ▶누리장나무/털누리장나무의 어린 枝葉(지엽)은 臭梧桐(취오동), 花(화)는 臭梧桐花(취오동화), 과실은 臭梧桐子(취오동자), 根(근)은 臭梧桐根(취오동근), 根皮(근피)를 짓찧어서 만든 끈적끈적한 즙은 土阿魏(토아위)라 하며 약용한다. ⑴臭梧桐(취오동) ①8-10월의 개화 후, 또는 6-7월의 개화 전에 꽃가지와 잎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잎은 clerodendrin, meso-inositol, alkaloid, acacetin-7-glucurone(1→2)-glucuronide를 함유한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降血壓(강혈압)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비통), 半身不隨(반신불수), 고혈압, 편두통, 말라리아, 이질, 치창, 癰疽瘡疥(옹저창개-化膿性 瘡疥(화농성 창개))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그거나 丸·散劑(환·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던가 가루를 만들어 고루 바르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⑵臭梧桐花(취오동화) - 두통, 이질, 疝氣(산기-Hernia)를 치료한다. 6-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臭梧桐子(취오동자) - 祛風濕(거풍습), 平喘(평천)의 효능이 있다.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바른다. ⑷臭梧桐根(취오동근) ①성분 : Clerodolone, clerodone, clerosterol을 함유한다. ②약효 : 학질(말라리아), 風濕痺痛(풍습비통-류머티즘에 의한 四肢(사지)의 마비, 통증), 고혈압, 食滯(식체)에 의하여 腹部(복부)가 땅기는 것, 小兒疳疾(소아감질-정신불안정을 수반하는 소아허약),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혹은 30-60g을 짓찧어 낸 즙을 술로 沖服(충복)한다. ⑸土阿魏(토아위) - 舒筋(서근), 活血(활혈), (소비), (파징)의 효능이 있다. |
유사종 |
▶털누리장나무(var. ferrugineum Nakai): 잎 뒷면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거문누리장나무(var. esculentum Makino): 잎은 심장저로 끝이 뾰족하고 화서가 짧으며 꽃받침 열편이 좁고 길다. |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누리장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잎과 줄기에서 누린내가 난다 하여 누리장나무라고 부른다. 여성의 노리개인 `부로치`처럼 익어 몹시 아름답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수형을 이루고 생장이 빠르다. |
10월 22일
벗풀 (Arrow-Head) - 신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