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13
Home > 식물도감 > 상세정보
닥나무 , Broussonetia kazinoki , 뽕나무과 , 월동 , winter , 남부수종 , Southern specie , 다년생 , Perennial Plant
분 포 |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700m에 자생한다. |
---|---|
형 태 | 낙엽 활엽 관목. |
크 기 | 높이 3m 정도로 자란다. |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5-20cm로서 끝은 날카롭고 간혹 깊이 갈라진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어린 나무에는 2-3개의 결각이 지는 것도 있다. 표면은 거칠며 뒷면은 처음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꼬부라진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
꽃 | 꽃은 자웅동주로서 5월에 피며 잎과 더불어 피고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길이 1.5cm로서 타원형이고 암꽃이삭은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구형이고 화경은 엽병과 길이가 거의 같다. 수꽃은 화피열편과 수술이 각 4개이며 암꽃은 끝이 2-4개로 갈라진 통상화피와 대가 있는 자방에 실같은 암술대가 있다. |
열 매 | 핵과는 편구형(偏球形)이며 취합과(聚合果)는 구형이고 9월에 익는다. 외과피는 과경과 더불어 굵어지며 육질로 되어 적색으로 익으므로 딸기와 비슷하고 내과피에 입상의 돌기가 있다. 과실을 저실자(楮實子)라 한다. |
줄 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소지는 손으로 꺾을 수 없을 정도로 유연하며 갈색이고 짧은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수피는 매우 질기고 회갈색이다. |
뿌 리 |
생육환경 |
▶산기슭 양지쪽, 밭둑에 난다.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를 좋아하는 양수로서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내륙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
광선 | 양생 | 내한성 | 강함 | 토양 | 비옥 | 수분 |
---|
꽃/번식방법 |
▶실생 및 무성으로 번식한다. 1.실생번식: 종자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한 후 직파하면 가을에 발아한다. 2.무성번식 ①분주: 모수에서 많이 발생하는 근맹아를 포기나누기한다. ②삽목 ⓐ번식은 주로 가지삽목과 뿌리삽목을 많이 한다. ⓑ3-4월, 6-7월경에 가지삽목을 하여 해가림을 해 주고 삽목상이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뿌리삽목을 하면 아주 발근이 잘 되고 11월경 직경 3㎜이상의 뿌리를 채취하여 1일간 그늘에서 건조시켜 과습하지 않는 토양에 저장해 두었다가 3-4월에 길이 9-15㎝정도로 잘라 뿌리의 상단부가 약간 보일 정도로 삽목한다. |
개화기 | 5월,6월 | 꽃의 색 |
---|
이용방안 |
▶열매와 어린 잎을 식용으로 한다. ▶수피의 섬유가 길고 질겨서 창호지나 표구용 화선지 등 오랫동안 보존을 요하는 종이를 만든다. 옷을 만들기도 한다. ▶제지 및 옷을 만들기 위한 섬유를 채취할 목적으로 식재한 곳도 많다. ▶부드러운 枝葉(지엽), 樹汁(수즙) 또는 根皮(근피)를 構皮麻(구피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철에 채취한다. ②약효 : 祛濕(거습), 이뇨, 活血(활혈)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비통), 타박상, 虛腫(허종-浮腫冷症(부종냉증)), 피부염, 鼠徑淋巴腺炎(서경임파선염)을 치료한다. |
유사종 |
▶애기닥나무(var. humilis Uyeki): 줄기가 가늘고 높이 1m정도이며 잎의 길이가 5-8cm, 엽병의 길이가 5mm, 열매의 지름이 6-7mm로서 위봉산, 내장산, 울릉도 및 완도에서 자란다. |
특징 |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맹아력이 강해서 근맹아가 많이 발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