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고도 300m 이상의 중부 산지, 숲 가장자리나 강가 및 계곡 근처의 돌이 많은 곳에 느릅나무와 왕느릅나무와 혼생하여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10~20m이다. 줄기의 잔가지는 꽃눈과 잎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단엽이며 도란형이다. 잎몸은 길이 7~8cm, 폭 4.5~5.5cm이다. 잎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30~31개 정도 있다. 잎밑은 뾰족하며 비대칭이고, 끝은 갑자기 뾰족해진다. 잎의 뒷면에는 곧고 거센털과 비단털이 혼생한다. 잎맥은 13~16개의 연주맥이며 잎자루는 0.6~0.8cm이다. 꽃차례는 잎의 기부에 작은이삭이 모여 있다. 꽃은 3~4월에 양성화가 피며 꽃받침의 열편은 6개이고 수술은 5개이며 직립형이다. 암술의 암술머리는 2분지형이다. 열매는 시과로서 타원형이고 길이 1.7~2.0cm, 폭 1.3~1.7cm, 흰 털이 약간 있다. 날개는 종자를 중심으로 삥 둘러싼다. 열매자루는 3cm이다. 우리나라 강원도 설악산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열매의 길이가 1.6~2.1cm로 비교적 크고, 잎몸 뒷면에 거친 털이 있는 반면, 느릅나무는 열매의 길이가 1.5cm 이하로 작고, 잎몸 뒷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는 점에서 구별한다. 또한 싹과 화피의 가장자리에 갈색 털이 있고, 수술과 화피가 각각 4~5개인 반면, 왕느릅나무는 싹과 화피의 가장자리에 흑갈색 털이 있고, 수술과 화피가 각각 6~7개인 점에서 구별한다. 가로수, 정원수, 공원수로 심는다. 목재는 가구재, 건축재, 기구재, 합판재, 표고버섯 재배원목으로 쓰며, 나무껍질은 약용하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형태
낙엽 교목으로 높이는 10~20m이다. 줄기의 소지는 화아와 엽아를 가진다. 잎은 호생이고 단엽이며 도란형이다. 엽신의 길이는 7~8cm이고 폭은 4.5~5.5cm이다. 거치는 복거치연이며 30~31개이다. 엽저는 의저이고 잎의 이면에 강직모와 견모가 혼생한다. 엽맥은 13~16개의 연주맥이며 엽병은 0.6~0.8cm이다. 화서는 잎의 기부에 소수가 모여있다. 꽃은 양성화가 피며 꽃받침의 열편은 6개이고 수술은 5개이며 직립형이다. 암술의 주두는 2분지형이다. 과실은 시과로서 타원형이고 길이는 1.7~2.0cm 폭은 1.3~1.7cm이며 과병은 3cm이다. 개화기는 3~4월이다. 계곡과 사면을 따라 분포한다. 해발고도 300m 이상에서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