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남부지방 길가나 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핀다. 줄기는 높이 20~80cm다. 잎은 마주나며 대부분 삼출겹잎이나 깃꼴겹잎도 나타난다. 작은잎은 난형으로 길이 2~6cm이다. 꽃은 지름 10~12mm인 머리모양꽃으로 피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7~8개, 주걱형이다. 꽃은 10~11월에 혀모양꽃차례로 피는데 4~6개가 달리며, 흰색이고,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 선형, 길이 7~13mm, 납작하며 3~4개의 까끄라기가 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 등에 귀화하여 자란다. 세계적으로 열대아메리카에 분포한다. 기본종인 울산도깨비바늘에 비해 머리모양꽃차례의 가장자리에 흰색의 혀모양꽃이 4~6개 달리므로 구분된다. 해독제, 지사제로 약용한다.
국내분포
남부지방, 제주도
해외분포
열대아메리카(원산)
서식지/생육지
길가, 밭
형태
줄기는 높이 20~80cm다. 잎은 마주나며 대부분 삼출겹잎이나 깃꼴겹잎도 나타난다. 작은잎은 난형으로 길이 2~6cm이다. 꽃은 지름 10~12mm인 머리모양꽃으로 피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총포조각은 7~8개, 주걱형이다. 혀모양꽃은 4~6개, 흰색,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 선형, 길이 7~13mm, 납작하며 3~4개의 까끄라기가 있다.
생태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10~11월에 핀다.
해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기본종인 울산도깨비바늘(Bidens pilosa L.)에 비해 머리모양꽃차례의 가장자리에 흰색의 혀모양꽃이 4~6개 달리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