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새 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늙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간혹 6)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직경 2.5-3cm로서 자갈색이 난다.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잎이 있다.
열 매
장과는 길이 6-10cm로서 긴 타원형이며 10월에 자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종자가 분산된다. 과피가 두껍고 과육은 먹을 수 있다.
줄 기
덩굴의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뿌 리
길고 비대해 있으며, 천근성이다.
생육환경
▶음수이나 양지에서도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음성이 강하며 토질은 유기질이 풍부한 보수력 있고 공기 유통이 잘 되는 비옥적윤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산성 내지 약산성에서 잘 자라고 바람이 심하지 않는 남향이나 동남향의 완만한 경사지가 좋다. ▶여러 나무를 군식하거나 반그늘에 심는 것이 열매가 잘 맺힌다.
광선
양생,중생,음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꽃/번식방법
▶실생, 삽목(꺾꽂이), 취목(휘묻이)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 1.실생번식 ①종자가 잘나온다. 10월에 익은 열매를 따서 과육을 물에 잘 씻으면 까만씨가 많이 나온다. 이것을 직파하든가 모래와 섞어 가매장 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2-4년 후면 정식할 수 있을 정도로 자란다. ②실생묘: 봄의 나물 채취용일 때는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이용할 수 있으나 열매를 수확하기까지는 10년이 소요되므로 실용적이 못된다. 2.삽목 - 이른봄 싹트기 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3-4마디(10-15cm)씩 잘라 반 정도 묻히게 꽂으며 장마 때도 할 수 있다. 활착률이 좋다. 3.취목 - 쉽게 번식되며 길게 뻗은 줄기의 마디 밑에 상처를 낸 후 휘어서 땅에 묻어 두면 그 곳에서 뿌리가 나므로 그 끝을 잘라 독립된 개체를 얻을 수 있다.
개화기
4월,5월
꽃의 색
보라색
재배특성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재배작형
파종기
이식기
결실기
10월
삽목기
이용방안
▶창문가나 시렁에 퍼골라 등을 만들어 심어 관상하며, 담벽이나 나무에 올려서 관상한다. ▶열매는 식용하고,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줄기는 바구니 등의 세공재로 쓴다. ▶으름덩굴, 여덞잎으름의 과실, 木質莖(목질경), 근(根), 종자를 약용한다. ⑴八月札(팔월찰) - ①과실로서, 9-10월 성숙할 때 채취한다. ②성분 : 과실에는 糖類(당류)가 함유되어 있고 줄기와 가지에는 akeboside(akebin)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理氣(이기), 舒肝(서간), 活血(활혈), 止痛(지통), 除煩(제번), 이뇨의 효능이 있다. 肝胃氣痛(간위기통-心窩部痛(심와부통)), 胃熱(위열)로 인한 (식매), 煩渴(번갈), 赤白痢疾(적백이질), 腰痛(요통), 脇痛(협통-늑막염), 헤르니아, 월경통, 子宮下垂(자궁하수), 혈뇨, 濁尿(탁뇨), 尿管結石(요관결석)을 치료한다. ⑵木通(목통) - ①木質莖(목질경)으로서, 9월에 줄기부위를 끊어 외피를 벗겨서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Akeboside 11종이 함유된 외에도 betulin, myoniositol, 蔗糖(자당), kalium이 함유되어 있다. 또 줄기에는 stigmasterol, β-sitosterol, β-sitosterl-β-d-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瀉火(사화), 血脈通利(혈맥통리)의 효능이 있다. 小便赤澁(소변적삽), 淋濁(임탁-소변혼탁), 水腫(수종), 浮腫(부종), 頻尿(빈뇨), 배뇨곤란, 胸中煩熱(흉중번열), 喉痺咽痛(후비인통), 遍身拘痛(편신구통-전신의 硬直痛(경직통)), 婦女經閉(부녀경폐), 乳汁不通(유즙불통) 등을 치료한다. ⑶木通根(목통근) - ①9-10월에 뿌리를 채취한다. ②성분 : 뿌리에는 stigmasterol, β-sitosterol, β-sitosterol-β-d-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거풍), 利尿(이뇨), 行氣(행기), 活血(활혈), 補腎補精(보신보정)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관절통, 소변곤란, 胃腸氣脹(위장기창), Hernia, 經閉(경폐), 타박상을 치료한다. ⑷預知子(예지자) - ①성분 : 종자에는 지방유 약 18%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補五勞七傷(보오로칠상)의 효능이 있다. 현벽, 氣塊(기괴), 天行溫疫(천행온역), 中惡失音(중악실음)을 치료한다. 宿食(숙식)을 消(소)하고 煩悶(번민)을 멈추고 소변을 利(이)하고 藥毒(약독)을 해독한다. 모두 蟲,蛇咬傷(충,사교상)에 바른다.
보호방안
으름덩굴은 관상용 덩굴식물로도 훌륭하며 줄기는 꽃꽂이의 소재로도 환영받는다.
유사종
▶멀꿀(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상록성 덩굴로, 잎은 두꺼운 가죽질이고 5-6장의 소엽이 모여 1장의 잎을 이룬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껍질이 두꺼우며, 익으면 벌어지기도 한다. 속에 든 과육은 맛이 좋다. ▶여덟잎으름 (var.polyphylla NAK.): 소엽이 6-9개(보통 8개임)이며 속리산, 장산곶 및 안면도에서 자란다.
특징
다른 나무를 감아 올라가는 특징이 있는 낙엽수로 봄에 돋아나는 새싹을 나물로 이용하는 개성있는 산나물이다.
+상세설명
개요
산지 숲속 및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줄기는 길이 10~20m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장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 폭 1~2cm,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5월 암수한그루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3장이다. 수꽃은 꽃차례 위쪽에 달리며, 수술 6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 암꽃은 수꽃보다 크고, 꽃차례 아래쪽에 달리며, 기둥 모양의 암술대가 3~6개 있다. 열매는 장과,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cm쯤이고, 9~10월에 익으면 한쪽이 세로로 벌어진다. 한반도 황해도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멀꿀에 비해 상록성이 아니며, 열매는 길이 10cm의 긴 타원형이고 완전히 익으면 벌어지므로 구분된다. 잎이 6~9갈래로 갈라지는 것을 여덟잎으름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열매는 식용하며, 뿌리와 가지는 약용하고, 줄기는 곡물세공재로 이용한다. 목통, 으름이라고도 한다.
형태
줄기는 길이 10~20m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장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 폭 1~2cm,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3장이다. 수꽃은 꽃차례 위쪽에 달리며, 수술 6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 암꽃은 수꽃보다 크고, 꽃차례 아래쪽에 달리며, 기둥 모양의 암술대가 3~6개 있다. 열매는 장과,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cm쯤이고, 익으면 한쪽이 세로로 벌어진다.
국내분포
황해도 이남
해외분포
일본, 중국
생태
낙엽 덩굴나무다. 꽃은 4~5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이용및활용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한다.
열매는 식용하며, 뿌리와 가지는 약용하고, 줄기는 곡물세공용으로 이용한다.
해설
멀꿀(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에 비해 상록성이 아니며, 열매는 길이 10cm의 긴 타원형이고 완전히 익으면 벌어지므로 구분된다. 잎이 6~9갈래로 갈라지는 것을 여덟잎으름(Akebia quinata (Thunb.) Decne. for. polyphylla (Nakai) Hiyama이라고 한다. 뿌리, 줄기, 열매는 약용으로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