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이 좀 이쁘다 싶으면 일본동백이거나 중국쪽 동백인데
좀 이쁘다 하는 아이들은 몸값을 좀 하죠.
이 아이의 색과 꽃 형태가 참 이쁜곳 같아서 새순이 막 올라와 전정할때 쯤에 몇가지 삽목을 해야겠네요.
동백이 삽수가 발근하는데 오래걸리긴 하지만 성공률 높은 아이들이기도 하네요.
|
잎 | |
잎이 호생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길이 5~12cm, 나비 3~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2-15mm로서 털이 없다. |
|
열매 | |
삭과는 지름 3~5cm로서 둥글고 녹색바탕에 붉은 색이 돌며 3실이고 백로 무렵에 성숙한다. 삭과의 과피가 떨어지면서 1.5~2cm 크기의 잣모양의 암갈색 종자가 떨어지며, 3~9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
꽃 | |
꽃은 양성화로 적색이고 1개씩 액생 또는 정생하며 화경이 없고 반 정도 벌어지며 소포는 둥글고 겉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1-2cm로서 난상 원형이고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5cm로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100개가 있다. 꽃밥이 황색이고 자방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다. 4월에 많이 개화한다. | |
줄기 | |
높이가 7m에 달하고 기부에서 갈라져 관목상으로 되는 것이 많으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평활하며 소지는 갈색이다. | |
뿌리 | |
직근과 측근이 있다. | |
원산지 | |
한국 | |
분포 |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고창, 해남, 완도, 강진, 여수, 광양, 거제, 대청도,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 자란다. |
|
형태 | |
상록활엽소교목 | |
크기 | |
수고 15m, 직경 50㎝까지 자란다. | |
개요
해안가 산지에 자라는 상록소교목으로 높이 7m 정도이다. 줄기는 기부에서 갈라져 관목상으로 되는 것이 많으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매끈하며 소지는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12cm, 너비 3~7cm의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은 넓게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다. 꽃은 2~4월에 적색으로 피는데 양성화로 1개씩 액생 또는 정생한다. 꽃대는 없고 반 정도 벌어지며 소포는 둥글고 겉에 짧은 백색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1~2cm로서 난상 원형이다.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5cm로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많다. 꽃밥은 황색이고 자방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잣 모양의 암갈색 종자가 3~9개 들어 있다. 경상북도 울릉도와 남·서 해안 산지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국내분포
경기도(백령도), 경상북도(울릉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해외분포
일본 중남부
생태
상록활엽떨기나무다.
이용및활용
정원수, 공원수, 분재용으로 심는다. 꽃을 약용하고, 종자에서 기름을 얻는다.
해설
제주도, 울릉도, 남해안, 서해안의 백령도까지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내륙으로 분포의 확대가 예상된다.
동백나무, CamelliaJaponica, 다년생, PerennialPlant, 차나무과, 상록수, 남부수종
10월 24일
매화 (Prunus Mume) - 고결한 마음
내년에 묘목나오면 한번 더 도전해봐야겠어요...
직근성에다가 대부분 노지에 키워서 그걸 파서 판매하다 보니 적응하면서 그런 증상이 있는것 같기도 하고
남부지방이나 월동이 잘되지 위쪽에서는 열어죽기도 하는것 같아요.
핑크핑크~~
몇해전에 서천 동백정을 가보구 동백꽃 매력에 빠져 빨강 키우고 있는데 핑크도 들이고싶네요
Congratulation! You win the 49 Lucky Point!
꽃잎에 무늬까지 들어간 동백이라니...
역시 외국에서 들여오는 아이군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