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 열심히 추운 온도를 이겨내기 위해서 버티고 있을뿐이라 겨울의 측백의 색은 그리 이쁘진 않네요.
식물명
측백나무
학 명
Thuja orientalis L.
영문명
Chinese Arborvitae
과
측백나무과
원산지
한국
꽃말
견고한 우정
다년초여부
기타
꽃색
번식법
씨앗 삽목
잎종류
휴면온도
5℃
접목
1
2
3
4
5
6
7
8
9
10
11
12
삽목
1
2
3
4
5
6
7
8
9
10
11
12
파종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개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결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상세설명
꽃색
잎
잎은 비늘모양이며 뾰족하고 중앙부의 것은 도란형, 옆의 것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백색 점이 약간 있다. 잎의 폭은 2~2.5mm로 뒷면에는 작은 줄이 있다.
열매
구과는 길이 15-20mm로서 난형이며 8개의 실편이 교호로 대생하고 첫째 1쌍에는 종자가 없으며 둘째 것이 가장 크고 종자가 들어 있으며 구상(鉤狀)의 돌기가 있다. 종자는 한 실편에 2-3개, 한 열매에 2-6(보통 6)개 들어 있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첨두로서 길이 5mm이고 흑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
꽃
자웅동주로 수꽃은 전년지 끝에 1개 달리며 길이 2-2.5mm로서 10개의 인편으로 구성되고 각 2-4개의 꽃밥이 있으며 화경이 짧다. 암꽃은 구형이고 지름 2mm로서 연한 자갈색이며 8개의 인편으로 구성되고 각 꽃에 6개의 배아가 있다.
줄기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는 상록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수관은 불규칙하게 퍼지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소지는 녹색이고 가늘며 납작하고 수직방향으로 발달한다. 가지는 비늘과 같은 인엽으로 4열생한다.
뿌리
직근과 측근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상록침엽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수형은 원추형이다.
크기
수고 25m, 직경 1m
+상세설명
개요
석회암 지대 또는 퇴적암 지대 절벽에서 자라는 상록 침엽 큰키나무로 높이 25m, 지름 1m에 이른다. 흔히 떨기나무처럼 자라지만 수형은 원뿔 모양이다. 나무껍질은 적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갈라지며 벗겨진다. 어린가지는 녹색으로 납작하며 수직 방향으로 발달한다. 잎은 비늘 모양으로 V자나 X자 모양으로 겹겹이 배열하며 폭이 2~2.5mm로 뒷면에 작은 줄이 있다.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3~4월에 가지 끝에 달린다. 수구화수는 길이 2~2.5mm 정도의 타원형이고 갈색을 띤 노란색이며,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구화수는 8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연한 자갈색이고 길이 3mm 정도의 구형이다. 열매는 구과, 난형, 처음엔 분백색이지만 9~10월에 익으면 적갈색으로 변한다. 우리나라 충북 단양, 경북 대구, 안동, 영양 등에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이 종에 비해 서양측백나무는 비늘조각이 크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종자에 넓은 날개가 있으므로 다르다. 내한성, 내건성, 내공해성이 강하여 관상수로 이용가치가 높다. 조경수, 생울타리로도 심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