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신장상 원형이고 지름 15-30cm로서 표면에 꼬부라진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60cm, 지름 1cm로 자라고 윗부분에 홈이 생기며 녹색이지만 밑부분은 자줏빛이 돈다.
열매
수과는 원통형이고 길이 3.5mm, 지름 0.5m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12mm정도이고 백색이다.
꽃
이른봄에 높이 5-45cm의 화경(花莖)이 나오고 평행한 맥이 있는 포가 화경에서 호생한다. 꽃은 지름 7-10mm로서 산방화서에 다닥다닥 달리고 포가 밑부분을 둘러싸며 화경은 길이 1-2.5c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6mm, 지름 7-8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평행한 맥이 있으며 털이 없다. 양성의 소화는 모두 결실하지 않고 자화서(雌花序)는 양성화서와 같으나 꽃이 핀 다음 길이 70cm정도로 길어져서 총상으로 된다.
뿌리
지하경이 사방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땅 위에는 줄기가 없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도의 산록과 울릉도 그리고 남부지방의 산지와 길가 습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크기
화경(花莖)의 높이는 5-45㎝이다.
+상세설명
개요
전국의 민가 근처 습기가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꽃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50cm, 잎 모양의 포가 어긋나게 달린다. 잎은 땅속줄기에서 몇 장이 나며, 신장상 원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
국내분포
전국
서식지/생육지
햇볕이 잘 드는 나지나 공터, 논 밭 주변부, 민가 근처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50cm, 잎 모양의 포가 어긋나게 달리는데 길이 7~8cm, 폭 1~2cm다. 잎은 땅속줄기에서 몇 장이 나며, 신장상 원형, 길이 4~12cm, 폭 9~21cm,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5...
생태
꽃은 3~4월에 핀다. 암꽃과 수꽃이 다른 개체에 달리는 암수딴그루이다.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해설
본 분류군은 시에볼드(Siebold)와 주카리리(Zuccarini)가 Nardosmia속에서 발표한 종으로 이 속이 머위속으로 통합됨에 따라 머위속에 분류한다. 우리나라에는 머위 이외에 개머위(P. saxatile (Turcz.) Kom.)가 강원도 이북의 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