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3개씩 윤생하며 엽병이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윗부분이 다소 넓어졌다가 좁아져 둔하게 끝나며 밑부분은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고 길이 1.5-2cm, 폭 3-6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황록색이다.
열매
골돌은 비스듬히 벌어진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6-10mm로서 5수이고 높이 15cm정도의 화경(花梗)이 곧추 자라 그 끝에 많은 황색꽃이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타원상 침형이며 둔두로서 꽃받침보다 길며 황색이고 수술은 10개이다.
줄기
길이는 15cm가량되며, 줄기는 땅 위로 뻗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지면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뿌리
지면으로 뻗은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가 15cm정도이다.
+상세설명
개요
전국의 양지바른 바위 겉이나 땅 위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흔하다. 세계적으로는 중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줄기는 길이 20cm,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내린다. 잎은 보통 3장씩 돌려나며, 잎자루가 없다. 꽃은 5~6월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연한 순을 나물로 먹거나 물김치를 담가 먹는다. 관상용 가치가 높고,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분류군이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일본
서식지/생육지
산지의 바위지대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이 20cm,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내린다. 잎은 보통 3장씩 돌려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 길이 1.5~2.0cm, 폭 0.5cm쯤이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5장이다. 꽃잎은 5장,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5개다. 열매는 골돌이며, 비스듬히 벌어진다. 연한 순을 나물로 먹거나 물김치를 담가 먹는다.
생태
꽃은 5~6월에 핀다. 습기가 많은 곳에서 적은 곳까지 다양한 곳에서 잘 자라며, 특히 가뭄에 강하다.
해설
옆으로 뻗어 가는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발달하며 꽃대는 위로 곧추서는 돌나몰속의 식물로 전국 각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육성 식물이다. 잎은 다소 편평하며 잎 가장자리가 밋밋한 우리나라의 돌나물속 식물 가운데, 잎이 3장씩 돌려나므로 쉽게 구분된다.
연한 순을 나물로 먹거나 물김치를 담가 먹는다. 정원의 바위틈에 키울 수 있어 관상용으로 가치도 높다. 항암 효과를 비롯해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최근 밝혀지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분류군이다(Moon et al. 2009; Huang et al.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