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털이 약간 있고 길이 10~20cm, 나비 4-10cm로서 엽병이 있다.
열매
과실은 포과로서 장타원형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종자가 1개 있다. 열매는 쉽게 떨어져서 옷같은 데 잘 붙는다.
꽃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3mm정도이고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녹색의 수상화서가 자라며 꽃은 양성이고 밑에서부터 피어 올라가며 꽃이 진 다음
밑으로 굽어서 화서축에 붙는다. 포(苞)는 송곳형이다. 꽃 밑에 달린 3개의 소포 중에서 2개는 밑에 난상의 돌기가 2개씩 있다. 꽃받침 열편은
5개가 서로 다르고 바깥쪽의 것은 끝이 매우 뾰족하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이 합쳐지며 그 중앙에 1개씩의 꽃밥이 없는 수술이 있다. 암술과
암술대는 각각 1개이며 자방은 타원형이다.
줄기
원줄기는 네모지고 높이 50-100cm이며 곧게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높아서 무릎같이 보이므로 쇠무릎이라고 한다.
뿌리
뿌리 굵고 길며, 우슬(牛膝)이라 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에도 자란다.
▶전국 각처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50-100cm이다.
+상세설명
개요
전국의 산과 들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0cm에 이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는 볼록해진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양쪽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녹색으로 피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
다른국명
쇠무릅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아시아, 북아메리카(도입)
서식지/생육지
산, 들, 농경지 주변
형태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네모지며, 마디는 볼록해진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4~8cm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0~20cm, 폭 4~10cm, 양쪽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녹색, 줄기...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해설
비름속(Amaranthus) 식물에 비해 잎은 마주나고, 꽃은 양성이며, 열매 맺는 시기에는 휘어져 거꾸로 달리므로 구분된다. 한방에서는 우슬(牛膝)이라 하여 뿌리를 약용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