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고 두꺼우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폭 2.5~4cm로서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엽병은 길이 6~8cm이며 소엽병의 길이는 3cm 정도 된다.
열매
장과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10cm로서 10월에 적자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황색이고 으름보다 맛이 좋다. 종자는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약간 편평하고 길이 6-10mm로서 검은색이 나며 열매 하나에 100개 이상 들어 있다. 으름덩굴과 다르게 열매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꽃
꽃은 자웅동주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액생하며 2~4개의 꽃이 길이 3-5cm의 화경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cm 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가을철에 적갈색으로 되고 많은 피목이 있어 거칠다. 꽃받침 잎은 6개이며 바깥 줄 3개는 2c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안쪽 줄 3개는 짧은 선형이다. 꽃받침 잎은 유백색이며 담황색을 띠고 안쪽에 적자색의 선이 있다. 수술은 6개, 암술은 3개이다.
줄기
줄기는 길이가 15m 정도 뻗고, 줄기 직경은 6cm 정도 자란다. 일년생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 난다.
뿌리
잔근성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과 대만, 중국 남부의 난대지역에도 분포한다.
▶전남, 경남, 충남 등, 남쪽지방의 표고 700m 이하 섬에서 자란다.
형태
상록활엽 만경목
크기
길이 15m 정도.
+상세설명
개요
표고 700m 이하의 남쪽 섬 바닷가에서 길이 15m, 지름 8cm 정도 자라는 상록 덩굴성 나무이다. 줄기는 길이 15m, 직경 6cm 정도로 자란다. 일년생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잎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폭 2.5~4cm로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게 뾰족하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5~6월에 황백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2~4개의 꽃이 길이 3~5cm의 꽃자루에 달리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3cm 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 잎은 6개이며 바깥 줄 3개는 2cm 정도로서 피침형이고, 안쪽 줄 3개는 짧은 선형이다. 수술은 6개, 암술은 3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5~10cm로서 10월에 적자색으로 익는다. 으름덩굴과 달리 열매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 전남, 경남, 충남 등, 주로 남해안 섬과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의 난대 지역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식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