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7-15cm, 폭 4-9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5-30mm의 짧은 엽병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있고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다. 탁엽은 원통형이며 길이 5-10mm로서 가장자리에 수염같은 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서 양끝이 좁고 납작한 난형이며 암갈색이고 길이 2.5mm 가량으로서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숙존악에 싸여 있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적색이며 짧은 화경이 있어 약간 휘고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에서 나오며 길이 20-40cm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길이 2-3mm로서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이고 자방은 난상 원형이며 화주(花柱)는 보다 길고 2개이다.
줄기
높이 50-80cm이고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거친 털이 산포되어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50-80cm이다.
+상세설명
개요
전국의 숲 가장자리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길고 거친 털이 많다. 뿌리줄기는 짧고 단단하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80cm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짧게 뾰족하다. 잎 뒷면에 털이 나며, 보통 검은 반점이 있다. 턱...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
서식지/생육지
숲 가장자리
형태
전체에 길고 거친 털이 많다. 뿌리줄기는 짧고 단단하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80cm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 1~3cm이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7~15cm, 폭 4~9cm, 끝이 짧게 뾰족하다. 잎 뒷면에 털이 나며, 보통 검은 반점...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핀다.
해설
우리나라의 여뀌속(Polygonum) 식물들에 비해서 화피는 4갈래로 갈라지며, 암술대는 갈고리 모양으로 휘고, 열매가 익을 때까지 남아 있으므로 구분된다. 본 종과 비교하여 전체에 털이 적고 잎이 뾰족한 것을 새이삭여뀌(Polygonum neofilifor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