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폭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5mm이다.
열매
삭과는 지름 3.5-6mm로서 둥글며 성모가 밀생하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꽃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형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單毛)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꽃잎은 길이 15mm정도로서 성모가 있고 백색이다. 수술대는 양쪽에 돌기같은 날개가 있으며 암술대는 3-4개이다.
줄기
소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원산지
일본 원산
형태
낙엽활엽관목
+상세설명
개요
일본 원산이며 정원, 공원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2m 정도로 자란다. 어린가지에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오래된 가지는 나무껍질이 벗겨진다.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6cm, 폭 1.5~3.0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잎 양면에 별 모양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는데 흰색이며,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통은 종 모양이고 별 모양 털과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다.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삭과, 구형, 지름 3.5~6.0mm,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별 모양 털이 밀생한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식재한다. 애기말발도리는 잎 뒷면과 씨방에 털이 거의 없고 꽃은 원추꽃차례로 달리는 데 비해, 이 종은 잎 양면에 별 모양 털이 있고 꽃은 총상꽃차례로 달리므로 구분된다. 꽃잎이 여러 겹으로 피는 품종을 만첩빈도리라 한다. 일본말발도리, 빈노리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일본말발도리
국내분포
전국(식재)
해외분포
일본
서식지/생육지
정원
형태
낙엽활엽 떨기나무이다. 높이 2m이다. 어린 가지에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오래된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6cm, 폭 1.5~3.0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잎 양면에 별 모양 털이 있다. 꽃은 흰색이며,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통은 종 모양이고 별 모양 털과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다.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삭과, 구형, 지름 3.5~6.0mm,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별 모양 털이 밀생한다.
생태
꽃은 6월에 핀다.
해설
애기말발도리(D. gracilis Siebold & Zucc.)는 잎 뒷면과 씨방에 털이 거의 없고 꽃은 원추꽃차례로 달리는 데 비해, 본 종은 잎 양면에 별 모양 털이 있고 꽃은 총상꽃차례로 달리므로 구분된다. 본 종과 비교하여 꽃잎이 여러 겹으로 피는 품종을 만첩빈도리(for. plena Schneid.)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