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고 두꺼운 난상
삼각형이며 둔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4-6cm, 폭 3-4.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엽병은 길이 2cm이다. 털은 없고 명아주처럼
표피세포가 우둘투둘하여 까실하다.
열매
꽃이 지면 시금치 씨처럼 4~5개의 딱딱한 뿔같은 돌기와 더불어 꽃받침이 붙어 있는 열매가 달린다. 열매 속에 여러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꽃
개화기가 길어서 4월부터 11월까지
계속 피며 제주도에서는 1년 내내 꽃이 핀다. 꽃은 종모양의 악편으로 된 노란색 꽃이 엽액에 1~2개씩 피고 화경은 짧고 굵다. 꽃받침통은 길이
4mm정도이지만 자라서 7mm에 달하며 어깨 근처에 4-5개의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넓은 난형으로서 겉은 녹색이고 안쪽은 황색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9-16개로서 황색이다. 자방은 하위이며 도란형으로서 4-6개로 갈라지는 암술대가 있다.
줄기
줄기가 땅에 기듯 뻗어가면서
자라는데 가지를 많이 쳐서 포기가 커진다. 줄기와 잎이 다함께 다육질로 부러지기 쉽다. 털이 없으나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 일본, 중국, 동남아, 호주, 뉴질랜드, 남미 등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나라 중부이남의 해안 모래사장이나 낭떠러지 등에 자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지만 추운 곳에서는 1년초가 되어 겨울에 말라 죽는 경우가 많다.
크기
높이 60cm이다.
+상세설명
개요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누워 자라거나 덩굴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길이 40~5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잎자루는 2cm쯤이다. 잎몸은 난상 삼각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4~6cm, 폭 3~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11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자루는 짧고 굵다. 꽃받침통은 길이 3~4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6~7mm로 자라며, 가시 모양의 큰 돌기가 4~5개 있다. 꽃받침통은 4~5갈래로 얕게 갈라지는데 겉은 녹색이고 안쪽은 노란색이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노란색이며 9~16개이다. 암술대는 4~6개이다. 열매는 견과, 벌어지지 않고 윗부분에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울릉도, 제주도, 남부 해안지방 등에 나며, 남미, 남아시아, 북미, 일본, 중국, 호주 등에 분포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전초를 약재로 쓴다.
다른학명
Demidovia tetragonoides Pall.:Pall.
(1781).Enum. Hort. Demidof, 150. t. 1.
국내분포
남부지방, 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일본, 중국; 남아시아, 호주, 북미, 남미
서식지/생육지
바닷가 모래땅
형태
줄기는 누워 자라거나 덩굴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길이 40~5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잎자루는 2cm쯤이다. 잎몸은 난상 삼각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4~6cm, 폭 3~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자루는 짧고 굵다. 꽃받침통은 길이 3~4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6~7mm로 자라며, 가시 모양의 큰 돌기가 4~5개 있다. 꽃받침통은 4~5갈래로 얕게 갈라지는데 겉은 녹색이고 안쪽은 노란색이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노란색이며 9~16개이다. 암술대는 4~6개이다. 열매는 견과, 벌어지지 않고 윗부분에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11월에 핀다.
해설
국내에서 볼 수 있는 번행초과의 유일한 식물로서 유사종이 없다. 바닷가에 자라며 잎은 다육질로 가장자리가 뒤로 얕게 말리고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 꽃이 피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