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 밑부분의 잎이 막질의 초상엽으로 된다. 잎은 4개이고 간혹 6개가 접근하여 대생하며 길이 6-20cm, 나비 4-9cm로서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길이 8-12mm의 엽병으로 된다.
열매
열매는 길이 3mm로서 넓은 도란형이다.
꽃
꽃은 양성으로서 4-5월에 피며 꽃잎은 없고 수상화서는 길이 3-5cm로서 보통 2개씩 나온다. 수술대는 3개이며 중앙부의 것이 다소 길고 길이 2.5-3mm로서 밑부분이 합생하여 위쪽만 3개로 갈라지는 넓은 난형의 것으로 되며 안쪽에 꽃밥이 각각 달려있다. 때로는 마디에서 폐쇄화가 나온다.
줄기
높이 30-50cm이고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부 이북에서 자라며 간혹 남부 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형태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30~50cm
+상세설명
개요
중부 이남의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잔뿌리를 많이 낸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50cm, 가지를 치지 않고, 털이 없다. 잎은 줄기 끝에 4~6장이 모여 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 밑부분은 둥글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
다른국명
쌍꽃대
국내분포
중부 이남
해외분포
러시아(극동), 일본, 중국, 대만
서식지/생육지
숲 속의 그늘진 곳
형태
뿌리줄기는 짧고, 잔뿌리를 많이 낸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50cm, 가지를 치지 않고, 털이 없다. 잎은 줄기 끝에 4~6장이 모여 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8~15cm, 폭 4~7cm, 밑부분은 둥글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6월에 익는다.
해설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Siebold)에 비해 꽃차례가 보통 2개 나오며, 꽃밥은 수술대의 중앙보다 위에 붙으므로 구분된다. 꽃차례가 쌍을 이루므로 쌍둥꽃대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