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가는 검상(劍狀)의 선형이고 비틀리며 끝이 날카롭고 길이 40㎝, 나비 5mm 내외이며 녹색이고 밑부분에 자줏빛이 돈다.
열매
삭과는 가늘고 길며, 길이 6cm정도로서 중앙부가 지름 1cm 정도이고 끝이 부리모양으로 뾰족하다. 종자를 마린자(馬藺子) 또는 여실이라 한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잎보다 짧은 화경(花莖)에 연한 자주색 꽃이 달리고 향기가 있으며 화피열편은 좁고 길며 외화피는 3개이고 상반부가 밖으로 퍼지며 안쪽의 3개는 곧추서고 주걱모양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각각 2개로 얕게 갈라진다. 자방은 하위이고 가늘며 길다.
줄기
큰 포기로 되고 모여나며 곧게 선다.
뿌리
근경은 짧으며 가늘고 질긴 갈색 수염뿌리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경남, 경북, 전북(덕유산), 충북, 경기(광릉), 황해,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잎은 길이 40cm, 나비 5mm.
+상세설명
개요
산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모여나며, 수염뿌리는 연한 노란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70cm다. 잎은 좁은 선형으로 2~3번 비틀리고 길이 40~70cm, 폭 5~6mm, 잿빛이 도는 녹색이며, 가는 잎맥이 많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2~4개씩 피며, 연한 보라색으로 지름 4~6cm다. 꽃싸개잎은 3~4개, 길이 5~10cm다. 바깥 화피조각은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맥에는 보라색 줄이 있다. 안쪽 화피조각은 연한 보라색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갈래는 다시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길이 6.5~7.5cm, 지름 1.4cm쯤이고, 7~8월에 익는데 끝이 부리처럼 뾰족하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몽골, 인도, 중국, 파키스탄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붓꽃속 식물들에 비해 잎이 2~3회 비틀리고 화피조각이 좁으며 열매 끝이 부리처럼 뾰족하므로 구분된다. 기본종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뿌리줄기는 약용한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 몽골, 인도, 중국, 파키스탄
서식지/생육지
산지의 건조한 곳
형태
뿌리줄기는 모여 나며, 수염뿌리는 연한 노란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70cm다. 잎은 좁은 선형으로 2~3번 비틀리고 길이 40~70cm, 폭 5~6mm, 잿빛이 도는 녹색이며, 가는 잎맥이 많다. 꽃은 줄기 끝에 2~4개씩 피며, 연한 보라색으로 지름 4~6cm다. 꽃싸개잎은 3~4개, 길이 5~10cm다. 바깥 화피조각은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맥에는 보라색 줄이 있다. 안쪽 화피조각은 연한 보라색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갈래는 다시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길이 6.5~7.5cm, 지름 1.4cm쯤으로 끝이 부리처럼 뾰족하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해설
우리나라 붓꽃속(Iris) 식물들에 비해 잎이 2~3회 비틀리고 화피조각이 좁으며 열매 끝이 부리처럼 뾰족하므로 구분된다. 기본종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중국에는 바깥 화피조각에 보라색 줄이 없고 안쪽 화피조각이 노란색인 I. lactea Pallas var. chrysantha Y. T. Zhao가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