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대생하고 타원상 난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5-20cm, 나비 2-10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로서 표면에 얕은 홈이 있다.
열매
열매는 지름 1.5-2.0㎝인 핵과로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며 10-12월에 적색으로 익고 겨울동안에 가지에 달려 있다.
꽃
꽃은 이가화로서 3~4월에 피고 지름 8mm이며 4수이고 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축에 털이 있고 암꽃은 길이 5-8cm의 화서에 달리며
꽃잎은 난형이고 길이 2mm이며 검은 자주색이고 자방은 타원형으로서 털이 있다.
줄기
높이가 3m에 달하고 소지는 녹색이며 굵고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다.
뿌리
직근이 있으나 측근이 더 발달되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지리적으로 일본, 중국, 인도에도 분포한다.
▶경기 이남의 해안가 및 도서지방에서 자라며 거문도와 대청도는 식나무의 북한계선으로 가장 널리 자생한다.
형태
상록활엽성관목, 수형:타원형.
크기
높이 3m 내외.
+상세설명
개요
남부지방 해안이나 숲속에서 자라며, 뜰에 심기도 하는 상록 활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3m쯤이다. 어린가지는 녹색이며 윤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5~20cm, 폭 2~10cm이다. 잎 가장자리는 이모양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2~5cm다. 꽃은 4~5월에 암수딴그루로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검은 보라색이고 지름 8mm쯤이다. 수꽃차례는 길이 7~10cm, 암꽃차례는 길이 1~2cm다. 꽃잎은 4장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1.5~2.0cm이고, 10월에 붉게 익어 다음해 봄까지 남아 있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경상북도 울릉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말채나무속 식물들에 비해서 상록 떨기나무이고 꽃은 암수딴그루에 핀다. 관상용, 생울타리용으로 심는다. 넓적나무, 청목이라고도 부른다.
다른국명
넓적나무
국내분포
전라남도, 경상북도(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일본
서식지/생육지
산지 숲 속
형태
줄기는 높이 3m쯤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윤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5~20cm, 폭 2~10cm이다. 잎 가장자리는 이 모양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2~5cm다. 꽃은 4~5월에 암수딴그루로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검은 보라색이고 지름 8mm쯤이다. 수꽃차례는 길이 7~10cm, 암꽃차례는 길이 1~2cm다. 꽃잎은 4장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1.5~2.0cm이고, 10월에 붉게 익어 다음해 봄까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