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경에서 나온 잎은 3개씩 2~3회
갈라지고 엽병이 길다. 소엽은 보통 2-3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2cm, 나비 3-7mm로서 분백색을 띤
녹색이며 원줄기에는 잎이 2장씩 달리고 엽병이 짧으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선형이고 길이
15-22mm, 지름 1.5mm정도이며 약간 염주형이다. 종자는 흑갈색이고 지름 1.2mm정도로서 겉에 잔돌기가 있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15~22mm로서 홍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한쪽이 넓은 순형(脣形)으로 벌어지며 다른 한쪽에 거(距)가 있다. 포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갈라지지 않고 소화경은 길이 5-10mm이며 수술은 6개가 양체로 갈라진다.
줄기
괴경 위에서 5~6개의 원줄기와 잎이 나와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서 높이가 10cm에 달하지만 전체는 길이 10-30cm이다.
뿌리
괴경은 묵은 괴경 위에 새로 생기고, 지름 1cm정도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도와 중부지역의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10-30cm
+상세설명
개요
들판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줄기는 지름 9mm, 밑에서 가는 실뿌리를 낸다. 줄기는 땅 위로 뻗으며, 높이 10~30cm, 비늘조각은 없다. 뿌리잎은 2~3번 갈라진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갈래조각은 넓은 피침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1~2cm, 폭 3~7mm다. 줄기잎은 보통 2개이며, 2회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자주색 또는 분홍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싸개잎은 넓은 난형, 끝은 밋밋하다. 꽃잎은 넓은 입술 모양, 다른 한 쪽은 거로 된다. 수술은 6개다. 열매는 삭과, 선형으로 길이 15~22mm, 5~6월에 익으며, 2갈래로 갈라진다. 씨는 검은색, 윤이 나며, 겉에 작은 돌기가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들현호색에 비해 덩이줄기는 1개가 달리고, 줄기는 땅 위로 뻗으며, 잎은 2~3회 갈라지는 3출 겹잎이므로 구분된다. 덩이줄기는 약용한다. 제주현호색이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제주현호색
국내분포
제주도(한라산)
해외분포
일본, 중국
서식지/생육지
들판, 산기슭
형태
덩이줄기는 지름 9mm, 밑에서 가는 실뿌리를 낸다. 줄기는 땅 위로 뻗으며, 높이 10~30cm, 비늘조각은 없다. 뿌리잎은 2~3번 갈라진 3개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다. 갈래조각은 넓은 피침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1~2cm, 폭 3~7mm다. 줄기잎은 보통 2개이며, 2회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자주색 또는 분홍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포엽은 넓은 난형, 끝은 밋밋하다. 꽃잎은 넓은 입술 모양, 다른 한 쪽은 거로 된다. 수술은 6개다. 열매는 삭과, 선형으로 길이 15~22mm, 2갈래로 갈라진다. 씨는 검은색, 윤이 나며, 겉에 작은 돌기가 있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해설
들현호색(Corydalis ternate (Nakai) Nakai)에 비해 덩이줄기는 1개가 달리고, 줄기는 땅 위로 뻗으며, 잎은 2~3회 갈라지는 3출 겹잎이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