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고 길이 2-6㎝로서 아원형 또는 난형이며 둔두이고 원저, 아심장저 또는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복거치가 있고 흔히 결각상이지만 3개로 얕게 갈라지기도 하며 3출맥이 있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도 맥 위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열매
4-5개의 자방으로 되어 있는 골돌로서 털이 나 있으며 9월에 익는다.
꽃
꽃은 양성화로 5-6월에 피며 새가지 끝의 산방상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에 가는 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통에도 털이 있으나 꽃받침 안쪽에는 밀모가 있으며 꽃잎은 백색이고 지름 1cm정도로서 수술보다 짧다. 자방은 4-5개로서 성모가 있다.
줄기
높이가 2m에 달하고 수피는 황갈색인데 오래 되면 벗겨지며 어린가지에는 종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경북 금오산에서 자란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 2m
+상세설명
개요
중국 원산이며 화단이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높이 2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으로 길이 2~6cm이다. 잎끝은 둔하며 아래는 둥글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겹톱니가 있으며 보통 3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약간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햇가지 끝에 산방상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꽃자루에는 가는 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 안쪽에 털이 밀생한다. 꽃잎은 흰색이고 지름 1cm 정도이며 수술보다 짧다. 열매는 골돌이며 씨방이 4~5개이고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식재하며, 중국에 분포한다. 이 종과 비교하여 양국수나무는 열매에 털이 없으므로 다르다. 관상용, 생울타리용으로 식재한다. 중국국수나무라고도 부른다.
다른국명
중국국수나무
국내분포
전국(식재)
해외분포
중국
서식지/생육지
화단, 정원
형태
낙엽떨기나무이다. 높이 2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으로 길이 2~6cm이다. 잎 끝은 둔하며 아래는 둥글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겹톱니가 있으며 보통 3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약간 있다. 꽃은 햇가지 끝에 산방상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꽃자루에는 가는 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 안쪽에 털이 밀생한다. 꽃잎은 흰색이고 지름 1cm 정도이며 수술보다 짧다. 열매는 골돌이며 씨방이 4~5개이고 털이 있다.
생태
꽃은 5~6월에 핀다.
해설
본 종과 비교하여 양국수나무(P. opulifolius Maxim.)는 열매에 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