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얇고 호생하며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3-6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매우 거칠고 뒷면에 짧은 복모가 있으며, 기부부터 3행맥의 모양을 이루고 측맥은 7-12쌍으로서 잎의 맥은 팽나무보다 더 많으며 곧게 뻗어서 톱니에 완전히 닿는다. 팽나무속의 나무는 측맥이 거치에 도달하지 못한다. 엽병은 길이 5-10mm 이다. 잎이 거칠기 때문에 건조시킨 잎으로 기물의 표면을 닦아 광택을 내기도 한다.
열매
열매는 핵과이며 난상구형이고 짧은 복모가 있으며 지름 7-8mm로서 그 해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미모가 나 있다. 과육이 달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먹으며 과경은 길이 7-8mm이다. 핵은 대체로 둥글고 그물 같은 무늬가 없는 것이 팽나무와 다르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5월경에 핀다. 수꽃은 새가지의 기부 엽액에서 나오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녹색으로서 꽃받침잎과 수술이 각각 5개이며 암고ㅊ은 새가지의 윗부분 엽액에서 1-2개씩 나오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1개의 암술이 있는데 미모가 있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화병은 가늘고 길이 0.5-5mm로서 회색의 미모가 나 있다.
줄기
높이20m, 지름 1m이며 수피는 담회갈색이고 세로 방향으로 작은 피목이 배열되어 얕은 줄로 되며, 그 줄에 따라 갈라져서 수피 조각이 떨어진다. 어린 가지에는 작고 둥근 갈색의 피목이 많고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수고 20m,직경 1m
+상세설명
개요
산기슭이나 강가에 자라는 큰키나무로 높이 20m, 지름 1~2m 정도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5~13cm, 폭 2.5~6.5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의 밑부분에서 3개의 큰 맥이 나오고 거기에서 7~12쌍의 측맥이 나와 가장자리의 톱니에 닿는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은 5월에 암수한그루에 핀다. 수꽃이삭은 햇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화피는 5장, 수술은 5개이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달리며, 암술대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 둥글며, 지름 12~13mm, 10월에 검게 익는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북 울릉도, 서․남해안 섬 지역,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팽나무속에 비해 측맥의 끝이 톱니의 끝까지 닿으므로 구분된다. 열매는 식용하고,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악기재로 쓴다. 곰병나무라고도 부른다.
다른국명
곰병나무
국내분포
전라남도, 경상남도, 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타이완, 일본, 중국(남부)
서식지/생육지
산기슭, 강가
형태
높이 20m, 지름 1~2m이다. 수피는 회갈색,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5~13cm, 폭 2.5~6.5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의 밑부분에서 3개의 큰 맥이 나오고 거기에서 7~12쌍의 측맥이 나와 가장자리의 톱니에 닿는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은 암수한그루에 핀다. 수꽃이삭은 햇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화피는 5장, 수술은 5개이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달리며, 암술대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 둥글며, 지름 12~13mm, 검게 익는다.
생태
낙엽 큰키나무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해설
열매를 식용으로 이용하며, 목재 및 기구재로 가치가 있는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팽나무속(Celtis)에 비해 측맥의 끝이 톱니의 끝까지 닿으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