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꽃이 필 때 밑부분의 잎이 말라버리고 중앙부의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약간 두껍고 거칠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며 길이 4-12cm, 폭 0.5-1.2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약간 있고 뒷면 맥줄에 잔털이 있다.
열매
수과는 도피침형이고 흑색이며 길이 2.5-3mm정도로서 10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갈색으로 길이 7mm이며 8-9월에 익는다.
꽃
꽃은 7-10월에 피고 지름 2.5-3.1cm로서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2-5mm로서 짧은 털이 다소 있다. 총포는 길이 9-11mm, 넓이 15mm이고 총포편은 3-4줄로 배열되며 녹색 또는 붉은 빛이 도는 녹색이고 외편은 점차 짧아지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다. 내편은 장타원상피침형으로서 길이 8-10mm이다. 꽃은 모두 설상화로서 황색이며 길이 11-17.5mm이고 화관은 끝이 5쪽이며 통부에 털이 있다.
줄기
높이 30-100cm이며 줄기는 곧추서고 단일하며 잔털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북반구의 온대에 널리 있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30-100cm이다.
+상세설명
개요
산과 들의 풀밭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20cm, 위쪽에 짧은 털과 별모양털이 많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선형, 길이 4~12cm, 폭 0.5~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자루는 짧거나 없다. 꽃은 7~10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대는 길이 2~5cm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2.5~3cm이다. 꽃싸개잎은 선형, 길이 2~3mm이다. 모인꽃싸개는 길이 9~11mm, 폭 약 15mm, 모인꽃싸개잎 조각이 3~4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 9~11월에 흑갈색으로 익으며, 능선이 10개 있다. 우산털은 갈색, 길이 7mm쯤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껄껄이풀은 키가 30~50cm로서 작으며, 뿌리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꽃은 보통 줄기 끝에 1개씩만 피므로 구분된다. 또한, 잎몸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는 점에서 잎몸이 선상 긴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한 께묵과 구별된다. 조팝나물이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조팝나물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북반구 온대
서식지/생육지
산지 풀밭
형태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20cm, 위쪽에 짧은 털과 별모양털이 많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선형, 길이 4~12cm, 폭 0.5~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자루는 짧거나 없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대는 길이 2~5cm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2.5~3cm이다. 포엽은 선형, 길이 2~3mm이다. 총포는 길이 9~11mm, 폭 약 15mm, 총포편이 3~4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 흑갈색, 능선이 10개 있다. 관모는 갈색, 길이 7mm쯤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열매는 9~11월에 익는다.
해설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껄껄이풀(H. coreanum Nakai)은 키가 30~50cm로서 작으며, 뿌리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꽃은 보통 줄기 끝에 1개씩만 피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