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심장형으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색 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한다.
열매
열매를 우방자(牛蒡子)라 한다.
꽃
꽃은 7월에 피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을 달리고 총포는 구형(球形)이며, 포편은 침형이고 끝이 갈고리모양이다. 꽃은 통상화뿐이며 검은 자줏빛이 돌고 잔꽃이 5갈래로 갈라지며 관모는 단형으로 강경(剛硬)하고 갈색이다.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줄이 있고 자줏빛을 띠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
뿌리는 길이 30~60cm 정도 곧추 들어가고 육질이다.
원산지
중국원산.
분포
귀화식물(歸化植物)이며,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2년초.
크기
높이 약 1.5m이다.
+상세설명
개요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곧게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60~150cm,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인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넓은 난형으로 길이 30~60cm, 폭 30~40cm이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에서 난 잎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다. 잎 뒷면은 흰색 솜털로 덮여 있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머리모양꽃차례가 모여 산방상으로 달리며, 진한 자주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둥글고, 지름 2~3cm이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여러 줄로 배열하며,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꽃은 모두 관모양꽃이며, 꽃부리는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 8~9월에 익는다. 우산털은 길이 3.5mm이다. 뿌리채소로 밭에 재배하거나 숲 가장자리, 하천 변, 공터 등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와 씨는 한약재로 쓰며, 뿌리줄기는 식용한다. 우웡, 우벙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네팔, 타이완, 러시아 사할린,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일본, 중국, 파키스탄, 서남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다른국명
우웡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네팔, 대만, 러시아(사할린,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일본, 중국, 파키스탄; 서남아시아, 유럽
서식지/생육지
밭에 재배하거나 숲 가장자리, 하천변, 공터 등에 자란다.
형태
뿌리줄기는 굵고, 곧게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60~150cm,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인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넓은 난형으로 길이 30~60cm, 폭 30~40cm이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에서 난 잎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다. 잎 뒷면은 흰색 솜털로 덮여 있다. 꽃은 머리모양꽃차례가 모여 산방상으로 달리며, 진한 자주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둥글고, 지름 2~3cm이다. 모인꽃싸개조각은 여러 줄로 배열하며,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꽃은 모두 관모양꽃이며, 화관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다. 관모는 길이 3.5mm이다.
생태
꽃은 6~8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해설
전국에서 심어 기르거나 귀화하여 저절로 자라는 식물이다. 우리말이름은 한자이름 ‘우방(牛蒡)’에서 유래한 ‘우웡’이 변하여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