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골돌(骨突)로서 타원형이고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꽃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화서 또는 복총상화서가 원줄기 끝과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소화경에 털이 많다. 꽃 전체 모양은 고깔이나 투구모양이다. 꽃받침잎은 꽃잎같이 생겼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뒤쪽의 것은 고깔같고 이마쪽이 뾰족하게 나와 있으며 중앙부의 것은 약간 둥글고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2개이며 긴 대가 있고 가장 윗부분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있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우상으로 넓어진다. 자방은 3-4개로 털이 있다.
줄기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뿌리
마늘쪽같은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1m에 달한다.
+상세설명
개요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
국내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서식지/생육지
낙엽활엽수림 내, 개울가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
생태
꽃은 9월에 핀다. 주로 낙엽활엽수 안의 그늘이 지고 토양이 비옥하며 습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해발 400m 이상의 산지의 계곡과 능선에서 자란다.
해설
본 분류군은 다른 초오속 식물들과 마찬가지로 식물체 내에 아코니틴이라는 맹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독 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우리나라의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본 분류군은 분류군 내의 형태적 변이가 심하며, 2년생 뿌리를 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