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마름 Ranunculus trichophyllus Chaix var. kadzusensis (Makino) Wiegleb
식물명
매화마름
학 명
Ranunculus trichophyllus Chaix var. kadzusensis (Makino) Wiegleb
영문명
과
미나리아재비과
원산지
한국
다년초여부
기타
꽃색
번식법
씨앗
잎종류
접목
1
2
3
4
5
6
7
8
9
10
11
12
삽목
1
2
3
4
5
6
7
8
9
10
11
12
파종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개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결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상세설명
매화마름 [梅花,yezoensis]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Ranunculus kazusensis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한국(제주·전남·함북)·일본 등지 서식장소 늪이나 연못 크기 길이 약 50cm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길이 약 50cm이다.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전부 물속에 들어 있으며, 3∼4회 깃꼴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다. 잎집과 잎자루는 짧고 털이 난다.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과 마주난 꽃자루가 물 위에 나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지름 약 1cm, 꽃자루 길이 3∼7cm이다. 꽃잎은 5장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 3∼4.5cm이다. 수술과 암술은 여러 개 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납작하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마르면 옆으로 달린 주름이 생긴다.
꽃은 물매화 비슷하고 잎은 붕어마름 같이 생겼으므로 매화마름이라고 한다. 식물체가 가늘고 작으며 잎집과 꽃턱에 전혀 털이 없고 물 위에 뜨는 잎이 없는 것을 민매화마름(R. yezoensis)이라고 한다. 한국(제주·전남·함북)·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매화마름 군락지가 7일 발견됐다. 군락지는 6곳으로 나뉘어 있으며, 전체 면적은 약 4만6000평이다. 논과 습지 등에 서식하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수생식물인 매화마름은 환경부의 멸종위기식물 Ⅱ급, 산림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 각각 지정돼 있다.
+상세설명
개요
논 주변에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속이 비고, 가지가 갈라지며, 50cm까지 자란다. 물속의 잎은 어긋나며, 3~4번 가는 실처럼 갈라진다. 땅 위로 올라오는 잎은 통통하다. 꽃은 4~5월에 피며, 잎과 마주난 꽃자루가 물 위로 나와 그 끝에 1...
다른국명
물바구지
국내분포
서해안 일대
서식지/생육지
논, 수로
형태
줄기는 속이 비고, 가지가 갈라지며, 50cm까지 자란다.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물속의 잎은 어긋나며, 3~4번 가는 실처럼 갈라진다. 땅 위에서 자라는 식물체의 잎은 보다 두껍다. 꽃은 잎과 마주난 꽃자루가 물 위로 나와 그 끝에 1개씩 피며, 흰색,...
생태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물이 채워진 논과 물이 채워지지 않은 논에서 모두 생육하는데, 수심에 따른 형태적 차이를 보인다. 매화마름의 생육은 차광에 의해서 저해되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길이생장이 증가한다(조, 2009).
해설
논에 자라는 수생식물이며, 잎이 실처럼 가늘게 갈라지므로, 국내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속의 다른 식물들과 구분된다. RAPD분석 결과, 국내 매화마름 개체군의 유전적다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Ku et al., 2007). 한국내셔널트러스트는 2002년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