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경상도,충청남도 등의 표고 100~1,300m에,서해안에서는 백령도까지, 동해안에서는 속초, 설악산까지 자라며 광양의 백운산에 많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 태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
크 기
수고 6m정도.
잎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첨두 원저이고 길이 7~15cm, 폭 5-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약간 물결모양을 이루기도 하며 끝에 선점이 있다.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없고 잎과 닿는 곳에 2개의 선이 있으며 탁엽이 일찍 떨어지고 어린 가지와 엽병은 흔히 자줏빛이 돌며 자르면 유즙이 나온다.
꽃
꽃은 일가화로서 정생하는 수상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10cm로서 윗부분에 많은 수꽃이 달리며 밑부분에는 화병이 있는 몇 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3개로 갈라진 술잔모양의 꽃받침잎과 2-3개의 수술있고 암꽃은 3개의 꽃받침잎과 3개의 암술대가 있는 난형의 자방이 1개 있다.
열 매
열매는 3개의 과피로 되며 둥근 삭과로서 3개로 갈라지고 3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둥글고 지름 7mm로서 청갈색 바탕에 선상의 흑색 반점이 있다.
줄 기
높이가 6m에 달하고 동아는 2-3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으며 털이 없다. 수피는 녹회백색이며 오래된 줄기는 얇게 갈라진다. 겨울눈은 삼각상으로 끝이 뾰족하고 2개의 아린(芽鱗)으로 싸여 있다. 가지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양지, 음지 모두에서 자라는 중용수이며 비옥하고 습기있는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공해성, 내조성, 해풍은 비교적 강하고 내음성은 보통이나 건조에 약하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가을에 익는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따뜻한 지방에서는 직파를 하여도 되며 추운곳에서는 건사저장을 하였다가 파종한다
재배작형
파종기
3월,4월
이식기
3월,4월
결실기
9월,10월
정원수,공원수, 가로공원에 적당하며 조경수로서의 가치가 크다. ▶종자는 기름을 짜서 식용, 도료용, 등유용으로 사용한다.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유사종 : 오구나무(S. sebiferum): 잎은 약간 두껍고, 사각상 난형이다
특 징 : 난대성 수종이며 때로는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다행송과 같은 아름다운 수형을 만든다.
.
+상세설명
개요
산 중턱이나 골짜기에 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높이 6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회백색을 띠고 겨울눈은 아린으로 싸여 있으며 털이 없다. 잎은 길이 7~15cm, 너비 5~10cm의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마주난다. 잎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측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