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a itinerans
기린초 종류들은 다육성식물이라 특별한 기술없이도 잘라서 꼽아만 놓으면 발근을 잘하는 종류이다.
몇주전에 삽수로 여러조각 받았던 아이들을 특별한 조제없이 그냥 삽목상자에 꼽아 놓았다.
얼마 되지 않아서 파릇파릇한 색감이 돌아서 파보니 역시나 뿌리가 잘 내려있다.
뿌리는 커팅한 가장 아래부근과 흙에 묻힌 마디부분까지 발근을 한다.
가뭄에도 강하고 나름 아름다운 야생화인데 생각보다는 인기가 많은건 아닌듯 싶다.
빨간컵포트에 옮겨 심어 놓으니 제법 이쁘다.
흙에 좀 자리좀 잡고 자세를 똑바로 하면 귀여울것 같다.
둘다 삽목묘고 아직 어린 개체라 그런지 사실 구분하기 어렵다.
|
잎 |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길이 1.5-2cm로서 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한 쪽에 2-3개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
|
열매 | |
골돌은 5개이고 밑에서 옆으로 퍼진다. | |
꽃 | |
꽃은 양성으로서 원줄기 끝에 황색꽃이 취산화서로 붙는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며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고 자방은 5개의 심피로 되며 떨어져 있다. | |
줄기 | |
높이가 20cm정도에 달하고 겨울 동안에 지상 10cm내외 윗부분이 말라 죽으면 그 밑에서 다시 싹이 나와 새둥지처럼 된다. | |
원산지 | |
한국. | |
분포 | |
강원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 |
형태 | |
다년초. | |
크기 | |
높이 20cm가량 된다. | |
애기기린초, SedumMiddendorffianum, 돌나물과, 삽목, 애기기린초삽목, 삽목
10월 22일
벗풀 (Arrow-Head) - 신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