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노랑제비꽃·장백산제비꽃·쌍화황근채라고도 한다. 다소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벋으며 마디가 밀접해 있고 짧은 뿌리줄기에서 무더기로 나와서 높이 5∼20cm로 자란다. 각각 3∼4개의 잎이 달리고, 잎은 신장 모양 심장형으로 둔한 톱니가 있으며 털이 다소 있다. 턱잎은 좁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 3∼5mm이며 털이 있다.
꽃은 7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원줄기의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자라서 각각 1개씩 달린다. 꽃은 옆갈래조각에 털이 없고 순판(脣瓣)에 자줏빛 줄이 있다. 꿀주머니는 반원형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8월에 익는데,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3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다.
어린 잎은 식용하고 풀 전체를 해독, 간기능 촉진, 부인병 등에 약용한다. 한국(백두산)을 비롯하여 북반구의 아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상세설명
개요
주로 고산의 다소 습기 있는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많고 가늘며, 흰색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밀집해 있다. 줄기는 뚜렷한데 다소 연약하며, 높이 5~20cm이다. 뿌리잎은 심장 모양이며, 길이 1~2.5cm, 폭 1.5~3.5cm이다. 잎끝은 넓고 둥글며, 밑은 깊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2~10cm쯤이다. 줄기잎은 3~4개가 어긋나며 넓은 콩팥 모양으로 길이 1~2cm, 폭 1.5~3cm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 톱니가 있고 잎 앞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지만 뒷면에는 거의 없다. 턱잎은 좁은 난형, 끝은 뭉툭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미미하고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는데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 계란 모양이고 길이 5~7mm이다. 우리나라 함경남·북도, 평안북도 등의 북부 지역과 강원도 설악산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형태
고산의 다소 습기 있는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연약하며, 높이 5~20cm다. 경생엽은 어긋나며, 넓은 콩팥 모양, 길이 1~2cm,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며,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