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지역: 제주도.전라남도완도 특징: 높이 20m에 달하며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때로는 위쪽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어린줄기와 어린잎은 별모양의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붉은색이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위쪽에 양성화, 밑에 수꽃이 달린다. 열매는 9∼10월에 결실하며 삭과로 목질이고 겉에 털이 밀생하며 2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온다. 용도: 가구재·건축재, 관상용. 꽃말: 선구자.
+상세설명
개요
산기슭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큰키나무이다. 보통은 덤불처럼 자라지만 높이 16m, 지름 80cm 정도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짙은 녹색이고 처음에는 매끈하나 점차 거칠어지면서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8cm, 폭 1.2~4cm,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맥 위에 별 모양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꽃은 4~5월에 암수한그루 또는 암수딴그루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 피침형으로 겉에는 갈색인 별모양털이 있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삭과, 난형, 10월에 여물면 2갈래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완도 등 도서지역, 제주도 등에서 자라며, 일본 혼슈 이남, 중국 동남부,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에 비해 잎이 보다 넓은 것을 넓은잎조록나무로 구분한다. 목재를 기구, 악기재로 쓴다. 정원수 또는 울타리용으로 식재한다. 나무껍질과 잎에 생기는 벌레집을 염료로 쓸 수 있다.
형태
보통은 덤불처럼 자라며, 높이 16m 정도이다. 수피는 짙은 녹색이고 처음에는 매끈하나 점차 거칠어지면서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8cm, 폭 1.2~4cm,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맥 위에 별모양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 또는 암수딴그루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 피침형으로 겉에는 갈색인 별모양털이 있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삭과, 난형, 여물면 2갈래로 갈라진다.
국내분포
전라남도(완도), 제주도
해외분포
일본, 중국
생태
상록 큰키나무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이용및활용
기구, 악기재, 정원수 또는 울타리용으로 쓴다. 나무껍질과 잎에 생기는 벌레집을 염료로 쓸 수 있다.
해설
본 종에 비해 잎이 보다 넓은 것을 넓은잎조록나무(var. latifolia Nakai)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