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은 많이 돋아서 지면에 퍼지며 엽병이 있고 두대우열(頭大羽裂)되며 길이 10cm이상이고 열편은 좁고 길며 유이편(有耳片) 또는 뭉뚝한 치아모양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위로 갈수록 작아져서 엽병이 없어지며 피침형 이저로서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고 가장자리가 근생엽과 마찬가지로 갈라지지만 위로 가면서 큰 치아상으로 된다.
열매
열매는 편평한 도삼각형이며 길이 6-7mm, 폭 5-6mm로서 요두이고 털이 없으며 종자가 20~25개 들어 있고 종자는 도란형이며 길이 0.8mm정도이다. 종자를 제(齊)라 한다.
꽃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백색의 십자화가 많이 달려 총상화서를 형성하며 화경이 있다. 화관은 소형이며 꽃받침잎은 4개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mm정도이다. 꽃잎도 4개이며 도란형으로서 길이 2-2.5mm이고 4강웅예(4强雄蘂)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줄기
높이 10-50cm이고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 상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
땅속에 직근이 자라며, 뿌리는 맛이 달다.
원산지
한국
분포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2년생 초본
크기
높이 약 10~50cm이다.
+상세설명
개요
전국의 들에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전 세계에 넓게 분포한다. 뿌리는 곧고 흰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50cm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서 땅 위에 퍼지고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에 나는 잎은 어긋나며 ...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전 세계
서식지/생육지
햇볕이 잘 드는 공터, 길가
형태
두해살이풀. 뿌리는 곧고 흰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50cm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서 땅 위에 퍼지고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10cm 이상이다. 줄기에 나는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인데 밑이 귓불 모...
생태
꽃은 2~11월에 걸쳐 핀다.
해설
봄에 나물로 먹는다. 본 분류군은 린네(Linnaeus)에 의해 말냉이속에 처음 기재되었으나, 납작한 각과의 열매에 날개가 달려 있지 않는 특징에 의해 냉이속으로 독립되었다.냉이가 속한 냉이속에는 전 세계에 3종이 있다. 냉이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데 나머지 2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