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0m, 지름 약 30cm이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작은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거나 달걀 모양이며 길이 2∼6cm이다.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납작하며 턱잎은 일찍 떨어진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4월에 피고 미상꽃차례에 달린다. 수꽃의 포(苞)는 둥글고 톱니가 있으며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6∼12개, 암술은 1개씩이며 암술머리는 2∼3개이다. 화피는 통처럼 생기고 꽃잎과 꽃받침의 구별이 없다. 씨방은 달걀 모양이고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며 5월에 익는다.
잎보다 긴 잎자루가 있어 약간의 바람에도 잎이 흔들려 은록색으로 보인다. 조림수로 심으며 나무껍질은 약재, 목재는 성냥·종이·조각·화약 재료로 쓴다. 한국·중국,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한다.
긴잎사시나무(var. laticuneata)는 잎이 넓고 밑이 날카로우며, 털사시나무(var. pilosa)는 잎의 뒷면과 잎자루, 어린 가지에 털이 약간 난다.
+상세설명
개요
산 중턱 이하 계곡 주변부와 하천, 물가에서 높이 20m, 지름 1m쯤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햇가지는 회녹색이다. 잎은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2~6cm,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편평하며 길이 1~5cm이다. 꽃은 4~5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는데 꼬리모양꽃차례로 달린다. 꽃싸개잎은 둥글고 자주색을 띠며 깊은 톱니가 있고 일찍 떨어진다. 수꽃차례는 길이 5~10cm, 암꽃차례는 길이 4~10cm이다. 열매는 삭과, 긴 타원형, 길이 2~6mm이며, 5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경상남도 이북에 나며, 러시아 사할린, 캄차카,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 뒷면이 녹색이고 잎 기부에 샘점이 없으므로 구분한다. 약용, 조각재, 화학원료로 쓰인다. 발래나무, 백양, 사실버들, 사실황철, 산사시나무, 왕사시나무, 왜사시나무, 파드득나무라고도 한다.
형태
낙엽활엽 큰키나무이다. 높이는 20m, 지름 1m쯤이다. 수피는 흑갈색이며 햇가지는 회녹색이다. 잎은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2~6cm,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편평하며 길이 1~5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피며, 꼬리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둥글고 자주색을 띠며 깊은 톱니가 있고 일찍 떨어진다. 수꽃차례는 길이 5~10cm, 암꽃차례는 길이 4~10cm이다. 열매는 삭과, 긴 타원형, 길이 2~6mm이다.
국내분포
전라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사할린, 캄차카), 일본, 중국
생태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5월에 익는다.
이용및활용
약용, 조각재
해설
본 종에 비해 잎의 길이가 길고 아래가 넓고 뾰족한 것을 긴잎사시나무(P. davidiana Dode for. laticuneata Nakai)로 구분한다.